기술동향
한국의 C형 간염바이러스 코호트 데이터베이스시스템 소개
- 등록일2014-09-05
- 조회수4844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4-09-04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C형 간염바이러스 #코호트#데이터베이스시스템#간염바이러스#간염
- 첨부파일
Database System for Korea HCV Cohort Study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에이즈·종양바이러스과
이정규, 최주연, 기미경
Ⅰ. 들어가는 말
1989년에 처음 발견된 C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는
급·만성 간염을 일으키며, 간경변증, 간세포암 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 약 1억 3천-5천만 명이 만성적으로
HCV에 감염되어 있고 매년 35만-50만 명이 관련질환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우리나라에서도 일반인의 0.78-1.29%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며 B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에 이어 만성 간질환을 일으키는 두 번째 주요 원인이다.
B형간염은 백신에 의해 감염자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백신이 없는 HCV 감염자는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HCV는 HBV에 비하여
만성간염이 되는 비율이 높아 HCV 감염자 중 50-80%가 만성 간염이 되며, 이들 중 2-24%가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므로 우리나라 간
질환자의 10-20% 정도가 HCV 감염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현재 사용 가능한 C형간염 치료제로는 인터페론 알파와 리바비린
병합요법이 있으며, 완치될 경우 간경변증과 간암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당뇨병의 발병 진단 치료에 있어서 혈관의 적극적인 역할 규명 및 이의 임상 적용
-
다음글
- Adenosine Deaminase Acting on RNA(ADAR) 효소에 의한 Adenosine-to-Inosine RNA Editing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