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코리네박테리움 기반 합성생물학적 연구 동향
- 등록일2014-11-25
- 조회수7727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4-11-21
-
출처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연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합성생물학#코리네 박테리움#박테리움#산업균주#글루타미쿰
- 첨부파일
이 자료는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연구단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1. 개요
분자생물학의 발전과 더불어 유전공학
기술들의 발전을 통해서 합성생물학 생물학적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은 생명공학 시대에 새로운 산업 분야를 창출하며 생명과학 산업의 모습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합성생물학은 바이오의약 뿐만 아니라 White BT, Green BT의 본격적 성장을 가능케 만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 동안의 합성생물학 기반의 기술들은 대장균, 효모와 같이 다양한 genetic tool이 확립되어 있는 미생물에 기반해서 개발 및 응용이
되어오고 있었는데, 점차 Bacillus subtilis, Pichia pastoris, Streptomyces avermitilis,
cyanobacteria까지 그 대상 미생물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은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그람 양성균이며, 병원성이 없는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균주로써
다양한 L-아미노산, 핵산 등을 생산하는 데에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용한 산업 균주이다.
또한 코리네박테리움은 아미노산 생산뿐만 아니라 그람 양성균의 특성으로 인한 용이한 단백질 분비 생산에서도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현재의 아미노산이나 단백질 생산을 넘어 코리네박테리움을 통해 다양한 바이오 화합물을 생산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렇게 유용한 산업균주 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기반의 합생생물학적 연구 동향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 BioINwatch 합성생물학과 생체전자공학이 융합한 Living drug 2024-07-0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