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메타오믹스를 기반으로 한 인간 미생물체 연구

  • 등록일2014-12-10
  • 조회수6704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4-11-30
  • 출처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메타오믹스#인간 미생물체#미생물체#인체 미생물체#Meta-Omics
  • 첨부파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에서 발행하는 e-생물산업 웹진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김 봉 수

 

인체 미생물체 (Human Microbiome) 연구는 인간의 몸에 존재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조성의 미생물들에 대한 연구를 유전체, 대사체, 단백질체 등을 활용하여 그들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를 통해 사람마다 고유의 미생물 군집을 가지고 있고, 각 신체부위 마다 특이성이 있으며,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러한 인체 미생물체는 노출된 환경과 식습관, 생활 습관에 따라 고유의 구성이 결정되므로, 인종별, 성별, 나이별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sequencing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사용되는 차세대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장비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메타오믹스 (Meta-Omics)를 기반으로 하는 인체 미생물체의 연구가 굉장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용량의 정보들을 빠른 시간 내에 만들어내면서, 이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생물정보학 (Bioinformatics)도 같이 발전되어 활용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인체 미생물체와 건강, 질병과의 상관 관계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