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암에서 AMPK 신호전달 경로의 역할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 등록일2015-01-07
  • 조회수580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4-12-31
  •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암#AMPK#신호전달경로#인산화효소#레독스
  • 첨부파일

이 자료는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뉴스지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 상 민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AMPK(5′-AMP-activated protein kinase)는 1987년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합성을 조절하는 인산화 효소로 발견된 이후 그 기능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다양한 대사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 되어 대사과정을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및 레독스(redox)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대사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 된 AMPK는 단백질 및 지방산 합성과 같이 ATP 및 NADPH를 소모하는 과정을 차단하고, 지방산 분해와 같이 이들을 생산하는 과정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에너지 및 레독스 항상성을 유지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세포의 생존 및 사멸을 조절한다. 이처럼 AMPK는 대사 조절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주요 대사 질환인 암 및 당뇨의 발병 기전을 이해하고 치료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어 그동안 많은 주목을 받으며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흥미롭게도, 특히 암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AMPK의 역할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면 단순히 암 유발 또는 억제 인자로서 단정 지을 수 있기보다는 양날의 칼처럼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리뷰에서는 암에서 AMPK의 활성이 조절되는 기전과 암에서 AMPK의 양면적인 역할을 보여주는 최근 연구 결과들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