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줄기세포 성장조절 핵심인자 기능 규명

  • 등록일2015-02-13
  • 조회수568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5-01-30
  • 출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줄기세포#성장조절#핵심인자#유전자#유도만능줄기세포
  • 첨부파일

 

줄기세포 성장조절 핵심인자 기능 규명

 

 

출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월간과학과기술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포유류는 한 개의 수정란에서 발생을 시작하여 약 60조 정도의 세포로 구성되며, 각 세포는 모두 동일한 DNA를 가지고 있다. 인간유전체 프로젝트의 완료로 인해 인간의 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밝혀졌으며 약 2만5천 개 정도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를 통해 세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 조직을 이루는 세포들은 그 조직의 직능에 따라 다양한 유전자를 발현하고 심장세포, 신경세포, 혈액세포 등 모양과 기능이 다른 210여 가지의 세포로 분화된다.


 

최근까지는 이렇게 분화된 세포들은 분화된 상태를 상구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배아뿐만 아니라 성체에서도 서로 기능이 다른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stem cell)가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개념이 바뀌게 되었다.


 

줄기세포가 세간의 주목을 받은 일대 사건은 2006년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팀에 의한 생쥐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유전자 발현을 돕는 유전자들(Oct3/4, Sox2, c-Myc, Klf4, 만능줄기세포 유도인자)을 도입하여 배아줄기세포처럼 만능성을 가진 줄기세포(유도만능줄기세포, iPS cell)를 만드는데 성공한 것이다. 같은 해에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 대학 제임스 톰슨 교수팀은 레트로바이러스로 유전자(Oct4, Sox2, Nanog and Lin28)를 도입하여 인간의 피부세포로부터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