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서의 소포체 스트레스(ER stress)
- 등록일2015-03-09
- 조회수6532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03-09
-
출처
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지방간질환#비알콜성#지방간#소포체 스트레스#ER stress
- 첨부파일
출처 : BRIC
박 민 정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생리학교실
E-mail: gguger@daum.net
요약문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NAFLD)의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최근 연구결과들은 소포체 스트레스가 지방간의 발생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으로의 진행에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비알콜성지방간염이나 비만인 사람의 간과 지방조직에서 흔히 소포체 스트레스라고 불리우는, 소포체의 항상성이 저해되는 상황이 발견되어 왔다. 소포체 항상성이 저해됨에 따라 활성화되는 신호체계인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미접힘 단백질 반응)가 지질 및 막의 생합성, 인슐린 작용, 염증, 그리고 세포자멸사와 관련됨이 알려졌다. 따라서,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서 소포체 항상성 저해 메커니즘과 다양한 만성, 대사성 질환들에 있어서 UPR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본 리뷰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서 소포체와 UPR 관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자료는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nu Rev Nutr. 2012; 32: 17?33 의 논문을 한글로 번역,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소포제와 미접힘 단백질 반응
(UPR)
2.1 소포체
2.2 핵심 UPR
2.3 그 밖의 UPR
3. UPR과 지방간 발생
4.
UPR과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진행
4.1 JNK : 인슐린 작용, 세포자멸사, 염증과의 일반적 연관성
4.2 염증
4.3 산화적 스트레스
4.4 소포체와 세포사
4.5 장관 기능
4.6 지방조직
4.7 요약
5.
영양분과 UPR 활성
6. 인간의 비만과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서 UPR 활성
7.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서 소포체 스트레스와
UPR
8. 결론
1.
서론
비알콜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이하
NAFLD)은 성인과 아동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만성적 알코올섭취 없이 지방 침투 (steatosis, 지방간)를 특징으로 한다.
일부에서는 지방간이 지방간, 염증, 세포자멸사 및 섬유증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및 말기간질환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비록 최근 지방간의 발생과 지방간염으로의 진행에 소포체가 관련이
있다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NAFLD의 원인은 불분명하다. NAFLD나 비만인 사람의 간과 지방조직에서 흔히 소포체
스트레스라고 불리우는 소포체 항상성 저해가 관찰된다. 더불어, 소포체 항상성 저해에 의해 활성화되는 신호체계인 UPR은 비만과 NAFLD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세포적 변화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비알콜성 지방간염에서 소포체 항상성 저해 메커니즘과 다양한 만성, 대사성 질환들에 있어서
UPR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식이보충제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식이보충제로부터의 영양소섭취 현황
-
다음글
-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화된 세포죽음 현상, Necroptosis: 메커니즘, 기능 그리고 관련 질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