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피부 면역과 면역인자들에 의한 피부 생리 조절

  • 등록일2015-04-17
  • 조회수6954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03-27
  •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피부 면역#면역인자#피부생리#피부#피부세포
  • 첨부파일
    • pdf 02_논단(2015-04)_피부 면역과 면역인자들에 의한 피부 생리 조절... (다운로드 200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출처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피부 면역과 면역인자들에 의한 피부 생리 조절

 

 -조 은 경(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Biomics 연구팀)
 

인간 신체에서 가장 큰 단면적을 지닌 피부는 1차 방어조직이자 가장 큰 면역기관으로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각종 유해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있다. 인간의 피부 구조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그리고 피하지방층으로 나누어 지고, 표피와 진피층은 extracellularmatrix로 구성된 기저막에 의해 구분되어진다(그림 1). 피부 부속기관으로는 피지샘, 모낭, 땀샘, 혈관, 신경다발등이 있으며 이들은 피부 전체에 일정한 패턴으로 혹은 특정영역에 분포되어 있다(그림 1).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들로는 표피층의 각질형성세포, 멜라닌형성세포, 진피층의 섬유아세포, 그리고 피하층의 지방세포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고, 이외에 피부 부속기관을 형성하고 있는 혈관내피세포, 신경세포, 피지세포(sebocyte), 모낭세포들(hair follicular cells), 그리고 적은 수로 존재하지만 활성시 강한 신호를 내는 피부 면역세포들이 존재한다. 본 리뷰에서는 면역 기관으로서의 피부 역할을 선천적, 후천적 면역 반응으로 나누어 간단히 살펴 보고, 피부에 존재하는 각 세포들이 이러한 선천적, 후천적 피부 면역에서 어떠한 역할들을 담당하고 있는지 조사해 보고자 한다. 또한, 피부 면역과 관련된 피부 질환들의 특성과 이들의 치료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말미에는 면역세포 포함 피부세포에서 분비되는 면역 인자들이 면역반응 이외에 다른 피부세포의 생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