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암환자에서 골수유래 면역억제세포의 증가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 등록일2015-05-13
  • 조회수6298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05-13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면역억제세포#억제세포#골수#암환자#면역세포
  • 첨부파일
    • pdf 2015_05_01_암환자에서 골수유래 면역억제세포의 증가에 대한 최... (다운로드 231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암환자에서 골수유래 면역억제세포의 증가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연 제 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시스템면역의학연구소

권 치 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대학원


서 론

최근 항체나 면역 세포 백신을 이용한 암의 면역 요법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암세포의 면역 회피 및 억제 작용으로 그 치료 효과에 큰 제한을 받고 있다. 암세포는 자신에 대한 면역 반응을 막기 위해, 각종 면역 세포들의 활동을 저하시키고, 비활성 수지상 세포, regulatory T세포(Treg), Tumor-associated macrophage(TAM)와 같은 면역 억제 기능을 가진 세포들을 유도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 새로이 밝혀진 암환자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골수유래 면역억제 세포,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MDSC)의 암의 면역 억제 환경에서의 역할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MDSC는 면역억제 기능을 가지는 골수 유래 미성숙 myeloid cell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건강한 개체에서는 이들 세포가 존재하지 않고, 만성 감염, 염증, 암 등의 병적인 상태에서 말초혈액, 림프기관, 비장, 암 조직 등에 축적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MDSC는 G-CSF, VEGF, SCF와 같이 암의 성장에 따라 유도되는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해 생성된다고 밝혀졌다.


MDSC의 면역억제 기전

MDSC는 T, NK 세포들의 면역반응을 억제하고, 또 다른 면역억제 세포인 Treg 세포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또한 암세포의 원격 전이를 유도할 수도 있는 것으로도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MDSC의 면역억제 기전은 크게 네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는 림프구가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결핍시키는 방법이다. L-arginine, L-cysteine 등의 아미노산을 고갈시켜 T cell receptor의 ζ-chain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한다. 두 번째 형태는 산화 스트레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나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을 만들어 T cell의 증식에서부터 기능까지 다양한 과정을 저해한다. TCR ζ-chain의 합성과정을 소실시키거나 TCR을 탈감작화시키기도 하고, IL-2 수용체 신호전달을 방해하기도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