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AACR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2015 참관기

  • 등록일2015-06-09
  • 조회수7233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06-09
  • 출처
    BRIC (생물학연구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AACR #Cancer#암 학회#암#참관기
  • 첨부파일

출처 : BRIC

 

AACR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2015 참관기


이영은 (성균관대학교) 

요약문

2015년 4월 18일부터 22일까지 미국 Philadelphia에 위치한 Pennsylvania convention center에서 열린 AACR (Annual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에 참가하였다. 올해로 106회를 맞는 AACR은 세계적인 암 학회라는 명성에 걸맞게 전세계적으로 2만명에 가까운 인원이 참가할 정도로 큰 규모의 학회였다. 학회는 “Bringing cancer discoveries to patients” 라는 표제 아래 Tumor biology, Molecular cellular biology, Immunology, Epidemiology, Clinical trials 등 다양한 분야를 다뤘으며, 유명 저널의 편집장 및 초청 연사들의 강연과 포스터 발표로 구성되어 있었다. 매일 오전에 열리는 Meet-the-expert session을 시작으로 Plenary session 및 Symposia가 열리고 중간에 최신 연구동향을 소개하는 Recent advances, 특정 연구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나누는 Educational session 그리고 주제별로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볼 수 있는 Poster session이 있었다. 또한 대학원생 및 Postdoc을 위한 Career conversation 등 연구자들 간에 교류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도 마련되어 있었다.


1. 학회 구성
  1.1 Plenary session
  1.2 Symposia
  1.3 Recent advances
  1.4 Poster session
2. 후기


1. 학회 구성

1.1 Plenary session

Plenary session은 첫날을 제외하고 매일 오전에 열렸는데 각 분야의 대가들이 자신들의 대표적인 연구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로 가장 많은 인원이 참석하였다. 학회는 크게 5개의 plenary session이 있었고 한 session당 4~6명의 연사들의 발표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초학회와 다른 점은 clinical trial session이 따로 있어 최근 임상시험 동향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본 참관기에서는 몇 가지 plenary session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한다.

1.1.1 The genome and beyond

- Insights from cancer genomes into the mutational processes underlying cancer development. (Michael R. Stratton, 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
- Engineering the cancer genome (Tyler Jacks, David H. Koch Institute)
- Above the genome: The epigenome and its biology and translational potential (Stephen B. Baylin, Johns Hopkins Univ. School of Medicine)
- Using genomics to personalize cancer immunotherapy (Robert D. Schreiber, Washington Univ. School of Medicine)
- Phase III study of pembrolizumab (MK-3475) versus ipilimumab in patients with ipilimumab-naive advanced melanoma (Antoni Ribas, UCLA Medical Center)
- Dual targeting of BCR-ABL with ABL001, a novel potent allosteric ABL kinase inhibitor in combination with nilotinib suppresses the emergence of disease resistance in models of CML (William R. Sellers, Novartis Institutes)

19일날 열린 첫 번째 plenary session의 주제는 “The genome and beyond” 였다. 연사인 Dr. Michael R. Stratton의 연구분야는 cancer genetics와 genomics 인데 그 중에서도 주 연구분야는 cancer susceptibility와 cancer driving gene에 대한 것이었다. Dr. Stratton은 BRCA2 유전자변이가 유전성 breast cancer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과 genome-wide sequencing 연구를 통해 cancer를 일으키는 다양한 susceptibility gene과 somatic mutation을 밝혀냈다. 대표적으로 malig-nant melanoma의 60%가 BRAF gene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는데 이는 BRAF inhibitor 약물의 개발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번 강연에서 Dr. Stratton은 cancer genome data를 이용하여 cancer development 과정에서 일어나는 mutational process에 대해 이야기했다. 일생에 거쳐 전반적으로 일어나는 somatic mutation 은 6 종류의 class (C>T, C>A, C>G, T>A, T>C, T>G)로 나눌 수 있고 class당 16 종류의 substitution mutation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총 96개의 somatic mutation을 가정할 수 있다. Dr. Stratton은 40개 cancer type, 12,023개의 case를 대상으로 8,024,188개의 somatic mutation을 분석하여 mutation signature를 분류했다. 이를 통해 12,023개의 cancer genome 각각에 대해 mutational signature가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였는데, 그 결과 30개의 mutational signature가 나누어졌고 C>T mutation이 가장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그 중에서도 13개의 가장 많은 mutational signature를 가지고 있는 breast cancer를 살펴보면 Signature2와 Signature 13의 비율이 가장 높은데 각각 C>T, C>G substitution이 일어난다. 이 두 개의 signature를 살펴보면 AID/APOBEC (Cytidine deaminase)에 의해 cytosine이 deamination 된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 할 수 있다. Dr. Stratton은 이러한 signatures는 기존에 알려진 mutagen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DNA maintenance의 결함 때문일 수도 있지만 많은 부분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이러한 mutational process를 이해하는 것이 cancer의 원인과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마무리 지었다.

[Summary]
? There are ~30 genome-wide mutational signatures across human cancer
? Two signatures reflecting cytosine deamination due to APOBEC activity are commonly found
? Kataegis is found in many cancers and is also likely caused by APOBEC activity
? Some signatures are due to known mutagenic exposures or known defects in DNA maintenance but the cause of many is unknown
? Understanding the mutational processes underlying mutational signatures will inform on cancer causa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두번째 연사인 Dr. Tyler Jacks는 genome engineering에 대하여 강연하였는데 주로 condi-tional knock-out model에 대해 이야기 했다. 최근 Genome engineering 의 핵심 기술은 CRISPR-Cas9(크리스퍼) 라는 restriction enzyme을 이용하여 표적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절단해 특정 유전자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CRISPR-Cas9은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의 약자로 세균 내에서 짧게 반복되는 DNA 조각을 뜻한다. CRISPR-Cas9은 세균이 외부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일종의 유전자백신인데,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균은 바이러스 정보를 자신의 DNA에 저장하고 바이러스가 다시 침입하였을 때 저장된 DNA 조각이 결합하게 되고 이를 통해 세균의 면역계가 작동하는 시스템이다. 작동 원리는 제거하고자 하는 DNA에 결합하는 RNA를 제작하고 RNA가 target DNA에 결합하게 되면 Cas9 enzyme이 붙어있는 RNA가 결합한 DNA는 잘려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거된 DNA 자리에는 새로운 정상 DNA가 생성되거나, DNA가 생성되기 전에 인공적으로 합성된 특정 DNA 조각을 넣어주게 되면 바로 그 자리로 끼어들어가게 되어 원하는 gene으로 대체할 수 있다. Dr. Tyler Jacks는 이러한 genome engineering 기술을 이용하여 암이나 유전병의 치료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upload image

1.1.2 Precision medicine comes to cancer prevention and screening

- Stool DNA detection of colorectal neoplasia: A new high bar for noninvasive screening
 (David A. Ahlquist, Mayo Clinic)
- Molecular risk stratification for aspirin chemoprevention (Andrew T. Chan,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liver cancer: Leveraging lessons learned from liver repair (Anna Mae E. Diehl,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Drastically reducing HPV-associated cancers through etiologically based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Douglas R. Lowy, National Cancer Institute-CCR)

20일날 열린 plenary session의 주제는 “Precision medicine”으로 정밀의학에 관한 것이었다. 이는 지난 1월 오바마 정부가 발표한 정부정책과도 관련이 있는 주제였다. 기존에 행해지던 cancer therapy는 같은 cancer를 가진 모든 환자들에게 동일한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일부 환자군 에서만 효과를 보이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환자 개인의 유전정보 및 환경, 생활패턴을 고려한 맞춤의학을 통해 극복할 수 있지만 이는 아직 이상적이고 시기상조인 해결책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보다 정확한 치료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개발되어 있는 약이나 치료법에 효과를 보일만한 환자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치료하고자 하는 것이 precision medicine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첫번째 연사는 Mayo clinic의 Dr. David A. Ahlquist로 미국에서 두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colorectal cancer를 대상으로 Stool DNA test 라는 비침습적(noninvasive) 방법으로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colorectal cancer(CRC)를 screening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뤘다. 기존 CRC를 진단하는 tool로는 fecal occult blood testing, flexible sigmoidos, colonos 등이 있었으나 평균 mortality reduction이 50% 이하로 좀 더 효과적인 detection tool이 필요했다. 효과적인 detection을 위해서는 sensitivity, compliance, access의 세 가지 요소가 모두 충족되어야 하는데, 각각의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Sensitivity: high sensitivity for CRC & greatest-risk precancers, unaffected by tumor site, operator independent (automated). 2) Compliance: noninvasive, no cathartic preparation, no diet or medication restriction, no missed work. 3) Access: home collection and mailing. Mayo clinic 에서는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하는 FDA approved Kit를 출시하였는데 검사원리는 대장 내막세포로부터 떨어져 나온 DNA를 채취하여 이것이 CRC와 precancer DNA 인지를 분석하고 stool sample에 포함된 hemoglobin을 detection 하는 것이다. 실제 미국과 캐나다에서 시행된 임상시험결과에 의하면 stool DNA kit의 정확도는 대장내시경검사의 92%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고 기존 fecal immunochemical test (FIT)에 비해 약 2배 이상이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추후 cancer surveillance 기능을 강화하고 methylation과 같은 cancer site-specific markers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CRC 뿐만 아니라 stomach, pancreas와 같은 다른 조직을 대상으로 validation study 및 plasma에 대한 pilot study가 진행 중이라고 소개하였다.

[Summary]
? High sensitivity for CRC and large polyps in screen setting at all anatomic sites
? Potential to prevent CRC via program detection of highest risk precancers
? User-friendly & distributable features could improve compliance and access
? FDA-approved for average risk screening
? Whole methylome discovery on all major gastric-intestinal tumors

Precision medicine session의 세 번째 연사인 Dr. Anna Mae E. Eiehl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는 “Early detection & prevention of liver cancer from liver repair”에 대해 이야기 했는데 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Liver disease가 일어나면 liver epithelial injury가 발생하고 이는 hepatocyte/cholangiocyte death를 유도하게 되는데 이 때 effective wound healing responses에 의해 손상된 liver가 regeneration 되거나 deregulated wound healing response에 의해 cirrhosis 또는 cancer가 생기기도 하는 상반된 결과를 낳는다. Dr. Anna는 injured hepatocytes에서 Hedgehog(Hh) ligands를 관찰하였다. Hh pathway는 development 과정이나 cell proliferation 등 세포성장이 활발한 단계에서 activation 되는데, 정상 성인 liver에서는 inactivation 되어 있고, tissue injury가 발생하게 되면 activation 된다. 이를 통해 Hh pathway dysregulation이 defective repair를 유도하고 progressive fibrosis를 촉진하게 된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통해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또 하나의 흥미로운 사실은 Hh signaling의 activation 정도에 따라 발병 정도가 다르다는 점이다. 정상 liver와 fatty liver는 Hh off 상태이고 hepatocyte 염증이 심화된 Nonalcoholic statohepatitis (NASH) 상태가 되면 Hh on 상태가 된다. 조금 더 상태가 악화되어 cirrhosis, Hepatocellular carcinoma와 같은 상태에 이르게 되면 과도한 Hh signaling이 관찰된다. Dr. Anna는 간은 다른 장기에 회복 능력이 뛰어난데 이 같은 repair system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할 경우 Hh pathway를 촉진시키고 Hh activation 정도가 cancer development에 하나의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통해 liver cancer의 조기발견 및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마무리 지었다.

 

 

upload image

 

1.1.3 Drug resistance

- Drug resistance: A genetic perspective (Bert Vogelstein, Jonhs Hopkins Kimmel Comprehensive Cancer Center)
- Genetic screens to understand drug resistance (Alan Ashworth, UCSF Helen Diller Family Comprehensive Cancer Center)
- Drug resistance: Translating discoveries into the clinic (Alice T. Shaw,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Cancer Center)
- Drug resistance: A cell biologist’s perspective (Joan S. Brugge, Harvard Medical School)

21일날 열린 plenary session의 주제는 Drug resistance에 관한 것으로 4명의 연사가Drug resistance에 대해 각각 genetics, drug development, clinical application, cell biology 관점에서 다루었다. 첫 번째 연사인 Dr. Bert Vogelstein 는 유전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drug resistance에 대해 다루었는데, conventional therapy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왜 대부분의 환자가 기존 치료법에 내성을 갖는지?’에 대해 집중할 것이 아니라 ‘왜 대부분의 환자가 이 치료법에 sensitive 한지’, ‘왜 기존 치료가 normal cell replication 보다 replicating cancer cell을 죽이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melanoma 환자를 대상으로 한 BRAF inhibitor인 Vemurafenib이 치료에 실패하여 재발한 사례를 소개하며 치료 이전에 이미 수천 개의 resistant cell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tumor size가 최소일 때 combination agents를 통해 치료해야 한다고 말하며 mouse model을 이용한 targeted therapy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Mismatch repair (MMR)-deficient CRC patient 환자가 PD-1 Ab 치료에 뛰어난 반응성을 보이는 임상결과 (NEJM, 2012) 제시하며 immunotherapy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하였다.

세 번째 연사인 Dr. Alice T. Shaw는 임상적인 관점에서의 drug resistance에 대해 이야기 했다. Crizotinib은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에서 ALK (anaplastic lymphoma kinase) 유전자의 genetic alteration을 타겟으로 하는 약물로서 임상연구결과 기존 화학요법과 비교했을 때 ALK-positive NSCLC 환자에서 훨씬 증진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체내 수명이 짧고 9~12개월 투약 시 대부분의 tumor가 약제 내성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Dr. Shaw는 이러한 Crizotinib에 대한 NSCLC의 내성을 극복하기 위해 암세포가 다른 growth pathway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약물의 효과를 억제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combination drug therapy를 통한 escape pathway inhibition에 대해 주로 연구하고 있다. ALK-positive NSCLC cell line을 대상으로 drug screening을 시행한 결과 Crizotinib과 같이 treat 하였을 때 resistance cell의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약물인 Saracatinib (SRC inhibitor)을 찾았다. 또한 환자의 tumor biopsy sample로부터 biomarker를 identify하여 combination therapy에 어떻게 환자가 반응하는지 예측할 수 있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Science (vol.346, 19 Dec 2014)에 게재되었다.

1.1.4 Clinical trials

AACR의 특징은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임상시험 연구에 대한 동향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 임상1,2상 진행 중인 결과들이 주를 이루었다. 일부 연구결과의 자세한 내용은 AACR webcast에서 볼 수 있다.

(1) PARP inhibitors
- DNA repair defects and antitumor activity with PARP inhibition: TOPARP, a phase II trial of olaparib in metastatic castration resistant prostate cancer (Joaquin Mateo, The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 The Royal Marsden NHS Trust)
- Accelerated phase I trial of two schedules of the combination of the PARP inhibitor olaparib and AKT inhibitor AZD5363 using a novel intrapatient dose escalation design in advanced cancer patients (Vasiliki Michalarea, Royal Marsden Hospital and The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2) New drugs of breast cancer
- A first-in-human phase I study to evaluate the oral ive estrogen receptor degrader GDC-0810 (ARN-810)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ER+ HER2-, advanced/metastatic breast cancer (Maura Dickler,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 A phase I study evaluating continuous and intermittent AZD2014 in combination with fulvestrant in patients with ER+ advanced metastatic breast cancer (Manish Patel, Sarah Cannon Research Institute)
- A phase I study of MM-302, a HER2-targeted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 in patients with HER2+ metastatic breast cancer (Patrica LoRusso, Yale Cancer Center)

(3) Immunotherapy
- Efficacy of pembrolizumab (MK-3475) and relationship with PD-L1 expression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Edward B. Garon,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 at UCLA)
- Clinical safety and efficacy of pembrolizumab (MK-3475) in patients with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Evan W Alley, University of Pennsylvania)
- Epstein-Barr virus (EBV)-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s for treatment of rituximab-refractory EBV-associated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Susan E Prockop,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1.2 Symposia

Symposia는 major와 minor로 나뉘어 매일 2~4 시간씩 진행되었다. 본 참관기에서는 여러 개의 symposia 중 두 개의 major symposia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1) Pan-Caner analysis of whole genomes (Peter J. Campbell, Wellcom Trust Sanger Institute)
 Pan-Cancer analysis of Whole Genomes (PCAWG)는 International Cancer Genome Consortium (ICGC)과 The Cancer Genome Atlas (TCGA)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2,000개 이상의 whole cancer genome을 분석하는 프로젝트이다. 각 genome은 reference genome alignment, standardized quality assessment, somatic mutation analysis 등의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된다. 이렇게 분석된 결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1) driver mutation을 발견하고 2) 다양한 tumor type에 걸쳐 나타나는 mutational signature를 통합 및 분류하고 3) genome evolution의 패턴 및 subclonal structure를 밝혀내고 4) germline mutation 과 somatic mutation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5) driver mutation에 의한 targeted biological pathway를 밝혀내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Liquid biopsy approaches for detecting, monitoring, and characterizing human cancer (Vitor E. Velculescu, Jonhs Hopkins Kimmel Comprehensive Cancer Center)
 Cancer genome을 분석함으로써 tumorigenesis mechanism을 밝혀내고 personalized therapy research 연구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아직까지 tumor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alteration 등의 복잡성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session에서는 환자의 혈액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molecular alteration을 분석하는 기법들에 대해 소개하였다. Circulating tumor cell, cell-free tumor DNA, exosomal nucleic acid 등이 그것인데 cell-free tumor DNA에 대해서는 아래 recent advances 파트에서도 다룰 예정이니 본 파트에서는 exosomal nucleic acid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Exosome이란 30~100nm 크기의 천연 나노입자로 plasma membrane protein의 제거에 관여하는 vesicle이다. 최근 들어 exosome이 암 세포에서 방출되어 miRNA를 조절하여 종양 생성을 유발하여 cancer biomarker로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지고 있다. 유방암 환자 혈청 유래 exosome이 종양 형성을 촉진한다는 내용의 연구결과가 Cancer cell(2014)에 게재되기도 했다. 앞으로 충분한 연구가 수반된다면 Diagnostics 분야에서 biomarker로서의 exosome의 역할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1.3 Recent advances

(1)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research
- Biomarkers for immunotherapy response (Thomas Frank Gajewski, University of Chicago)
- Clinical applications of liquid biopsy: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Caroline Dive, Paterso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2) Epidemiology and prevention research
- Breast cancer vaccines: Opportunities for prevention (Elizabeth A. Mittendorf, Th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 Cancer risk factors and targeted screening (Graham A. Colditz, Washington University)
- Early detection and overdiagnosis in cancer (Denise R. Aberle, UCLA Geffen School of Medicine)

(3) Organ site Research
- New insights in estrogen receptor biology and implications for treatment (John A. Katzenellen-boge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 New insights into the role of ultraviolet radiation in melanoma (Adele C. Green, Queensland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

Recent advances는 총 세 파트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그 중에서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research’와 ‘Epidemiology and prevention research’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research 의 여러 소주제들 중에서 Liquid biopsy에 대한 내용이 특히 흥미로웠다. 기존에는 암환자 조직을 적출해 항암제에 대한 반응성을 진단했다면 liquid biopsy는 보다 비침습적이고 위험성이 낮은 환자의 체액 내 존재하는 circulating tumor cell 또는 circulating tumor DNA를 분석하여 진단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유전자의 특정위치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allele-specific PCR, high-sensitive biochip 등의 고감도진단기술이 필수적이다.

Epidemiology and prevention research 파트의 Cancer immunoprevention은 cancer vaccine에 대한 것이었다. Cancer vaccine이란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vaccine을 뜻하는데 크게 1) 암이 발병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치료용 vaccine, 2) 암세포의 표지자를 타겟으로 하는 vaccine, 3) 암세포 특이적으로 유전자가 조작된 viral vaccine, 4) 암환자의 dendritic cell을 암표지 단백질로 활성화 시킨 dendritic cell cancer vaccine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연사인 MD Anderson의 Dr. Elizabeth A. Mittendorf는 HER2 triple positive breast cancer를 대상으로 trastuzumab (Herceptin) 투여 후 치료용 cancer vaccine ‘GP2’를 투여했을 때 breast cancer의 재발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연구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GP2는 CD8+ cytotoxic T cell을 자극하는 monoclonal antibody이며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GM-CSF)라는 immune stimulant와 함께 투여된다. Dr. Mittendorf는 다양한 level의 breast cancer 환자 190명을 대상으로 GM-CSF만 투여한 그룹과 GP2와 GM-CSF를 같이 투여한 그룹으로 나눠 3년간 관찰하며 임상2상 시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adjuvant therapy를 시행한 그룹의 disease-free survival(DFS)이 88%, GM-CSF 단독투여 그룹의 DFS rate이 81%로 재발이 37%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서는 재발율이 57% 감소하였다. Dr. Mittendorf는 이러한 결과에 대해 Trastuzumab에 의해 활성화된 CD4+ T cell이 antibody response를 일으킬 수 있도록 준비된 상황을 만들어주고 GP2에 의해 그 효과가 극대화 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하며 앞으로의 cancer vaccine 연구는 환자 개인에 맞춘 적절한 immunotherapeutic approach를 찾는 것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4 Poster session

AACR poster session은 19일~22일에 걸쳐 하루 4시간씩 진행되었다. 주제별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carcinogenesis, cancer chemistry, clinical research, endocrinology, epidemiology, experimental and molecular therapeutics, immunology, prevention research, tumor biology)로 수 천 편의 포스터가 게재되었고 발표자와 질문자들간의 토론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Poster session 이 열리는 한 쪽 편에서는 exhibition booth가 열렸는데 세계 각국에서 모인 바이오 관련 기업 및 출판사가 참여하여 최신 장비 및 기술에 대해 홍보를 하는 자리였다. 각 부스마다 홍보물을 무료로 나누어 주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모였다.

upload image

 
2. 후기

이번 AACR 참가를 통해 기초연구(Basic research)에서부터 임상연구(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까지 암 연구 전반에 걸친 최신 연구 성과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었다. 세계 각국에서 연구자들이 모이고 다루는 분야 또한 매우 광범위하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참가자 본인의 연구분야에 대해 깊이 있게 공부하려면 프로그램을 꼼꼼히 체크하고 관심분야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기회가 된다면 AACR 보다 세분화된 학회인 AACR 분과학회에 참석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저자에게는 관심 연구 분야 외에 다양한 연구 분야를 접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안목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내년 AACR은 4월 16일부터 20일까지 New Orleans, Louisiana에서 열린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