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iPSC기반 질병 모델링 및 신약발굴 동향
- 등록일2015-06-16
- 조회수679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5-05-15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질병 모델링#iPSC#신약발굴#신약#역분화줄기세포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iPSC기반 질병 모델링 및 신약발굴 동향
김창성 (세종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요약문
환자유래 역분화줄기세포(또는 역분화 유도만능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iPSC)은 그 시작은 분명 배아줄기세포를 대체 할 줄기세포제작이었는지도 모른다. 체세포 복제(Somatic cell nuclear transfer)를 이용한 맞춤형 줄기세포의 어려움과 기술적 보급능력에 있어 한계가 있었으나 어느 실험실이든 재현 가능한 iPSC의 제작은 폭발적으로 줄기세포응용 분야에 관심을 갖게 하였고 많은 발전들이 따라오게 되었다. 그 중 환자 유래 iPSC를 이용한 질병 메카니즘의 발견과 질병치료 기법 발견을 소개하고자 한다. 초기 iPSC질병모델링에서 제시한 기존 약품의 유효성의 소개에서 벋어나 신약발굴 및 신 치료기법, 더 나아가 환자맞춤형 치료효과에 대한 최근의 발표들을 소개하여 iPSC를 이용한 매우 일부분이긴 하나 정말로 새로운 분야가 열려있음을 알리고자 한다.
서언
2012년, 신야 야마나카 교수가 노벨상을 수상할 무렵, 야마나카 교수의 논문 중에 그 자신의 향후 동향에 대한 예측이 있었다. 배아줄기세포의 장점은 살리고 윤리적 기술적 장벽을 벗어던지는 것이 주요 포인트로 생각되어지는 터에 가장 현실적으로 응용 가능한 그의 최신기술에 대한 방향으로 환자유래 역분화 줄기세포의 질병 메카니즘 이해 및 새로운 치료방법제시를 하였다. 이는 줄기세포 기반 세포치료에 대한 현실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접근하고 획득할 수 있는 역분화 줄기세포의 성장분야에 대한 이야기이다. 노벨상을 수상하는 학자로서 당장 우리손안에 놓여질 수 있는 실질적 결과물을 제시한 것은 어찌 보면 당장 무엇인가를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하는 부담감에 기초한 것일 수 있지 않을까도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