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자가포식(autophagy) 수용체와 유비퀴틴 유사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선택적 자가포식에 대한 분자적 기초의 형성

  • 등록일2015-08-05
  • 조회수724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5-08-04
  • 출처
    BRIC (생물학연구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자가포식#유사단백질#유비퀴틴#autophagy#자가포식소체
  • 첨부파일

출처 : BRIC (생물학연구정보센터)

 

자가포식(autophagy) 수용체와 유비퀴틴 유사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선택적 자가포식에 대한 분자적 기초의 형성

 

요약문

 

선택적 자가포식(autophagy)은 세포질의 다양한 표적들의 인식과 제거를 담당한다. 따라서, 응집된 단백질이나 손상된 세포 내 소기관들, 또는 병원균들은 이중막으로 구성된 소낭인 자가포식소체(autophagosome)에 싸여 라이소좀(lysosome)으로 운반되어 분해된다. 이 과정은 p62/SQSTM1과 같은 선택적 자가포식 수용체에 의하여 매개된다. 이 단백질들은 자가포식될 표적을 인식하고 작은 유비퀴틴 유사단백질(ubiquitin-like modifiers, UBLs)?Atg8/LC3/ GABARAPs, ATG5)에 결합함으로써 선택적 자가포식소체의 형성을 매개한다. 최근에는 UBLs가 직접적으로 자가포식 핵 형성기관에 참여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리뷰에서 우리는 선택적 자가포식에 대한 최근의 발견들을 조명하고 표적 가까이에서 선택적 자가포식소체가 형성되는 모델을 제시하려 한다.


본 자료는 Interactions between Autophagy Receptors and Ubiquitin-like Proteins Form the Molecular Basis for Selective Autophagy. Molecular Cell 2014; 53(2): 167-178 의 논문을 한글로 번역,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가포식소체(autophagosome)의 형성
  2.1 초기 ? 개시와 핵 형성
  2.2 신장과 종료(or닫힘) ? UBLs의 중요한 역할
3. Cvt 소낭 ? 효모의 선택적 자가포식소체의 원형
4. Atg8/LC3/GABARAP-결합 단백질 ? 표적의 인식과 UBL 모집에서의 중요한 역할
  4.1 유비퀴틴화된 표적에 대한 수용체
  4.2 마이토파지 특이적인 수용체
  4.3 펙소파지 특이적인 수용체
  4.4 자가포식 기관의 LIR을 포함한 요소들
5. ATG5-Binding 단백질 ? 최근에 새로 발견되는 선택적 자가포식 수용체들
6. 선택적 자가포식 형성모델
7. 결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