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소포체 스트레스와 미접힘 단백질 반응의 연구 동향

  • 등록일2015-10-13
  • 조회수8027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5-10-06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소포체#미접힘 단백질#ER#세포소기관#소포체스트레스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소포체 스트레스와 미접힘 단백질 반응의 연구 동향

 

 

소 재 선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의생명공학과

 

서 론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는 단백질 및 지질의 합성, 칼슘의 저장, 신호전달 등을 담당하는 중요 세포소 기관이다[1]. 세포는 각자의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이는 환경 변화에 따라 선택적이고 정교하게 조절되어진다. 소포체는 단백질들의 “quality control”을 담당하는 소기관으로서 단백질들은 구조 형성 및 변형을 거친 후 적절한 위치로 운송되어진다. 소포체 내에 미접힘 단백질이 증가하는 소포체 스트레스(ER stress)는 단백질의 항상성 네트워크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최근 퇴행성 신경질환, 암, 대사질환, 염증성 질환 등에서 만성적인 소포체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있고, 이는 질병들의 주요 병리기작과 관련이 있다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소포체 스트레스의 신호전달 기작인 미접힘 단백질 반응(unfolded protein response, UPR)의 조절에 대한 연구의 증가와 더불어 이를 타깃으로 하여 치료 방법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 글을 통해 소포체 스트레스의 감지부터 하위 신호 전달을 통한 세포의 기능 조절에 이르는 UPR의 분자적 기작에 대해 분석하고, 이 중 가장 잘 연구되어있는 IRE1/XBP1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