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바다 조류에서 유래한 신비의 물질; MAAs (Mycosporine-like amino acids)

  • 등록일2015-11-16
  • 조회수587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5-11-01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MAAs#바다조류#조류#해양생물#신약선도물질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바다 조류에서 유래한 신비의 물질; MAAs (Mycosporine-like amino acids)

 

모상현 ((주)바이오에프디엔씨 대표이사)

 

 

영원한 젊음은 없다! 모든 생명체는 나이가 들면서 노화가 진행된다. 노화의 과정은 신체의 전 기관에서 일어나며 피부 또한 나이가 듦에 따라 노화가 된다. 피부 노화의 원인은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흔히 구분된다. 내적 요인은 가족력, 호르몬 변화 같은 유전 인자 및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적인 변화를 포함한다. 그에 반해 외적 요인은 만성적인 햇빛노출, 음주, 흡연 등 피부노화를 촉진시키는 요인들로 얼마든지 예방가능하고 피할 수 있다. 광노화(Photoaging)는 피부에 자외선의 만성적인 노출로 야기되는 것으로 1986년에 그 용어가 처음 소개되었다 [1]. 특히 만성적인 햇빛 노출은 주요한 외적 요인으로 피부 주름, 거칠기 증가, 탄력 감소 및 칙칙한 피부톤 등을 야기한다 [2].


자외선은 세포내에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단백질, DNA, RNA 등의 유기분자의 손상을 야기하여 세포손상을 일으킨다. 지난 수십년 동안 오존층의 감소에 따른 UVB 지표 도달은 증가되었고, 사람을 포함한 많은 유기체들이 UV B에 노출되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왔다 [3]. 따라서 자외선 차단은 피부노화를 저해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안티에이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가지의 효능을 지닌 제품보다는 복합 기능성의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마케팅 니즈에 따른 소재의 스토리텔링에 기반하여 제품의 기능뿐 아니라 사용되는 원료 소재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멜라닌(melanins), 마이코스포린(mycosporines), 마이코스포린유사아미노산(mycosporine-like aminoacids; MAAs),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등 수많은 자외선 흡수물질이 다양한 유기체들에서 발견되었고, 다양한 형태로 화장품 제형 내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화장품 시장은 자연 지향적이며 친환경적인 소비 추세에 따라 원료 소재 또한 식물성, 천연 소재로 빠르게 대체되어가고 있다. 특히 자연주의 추구에 따라 식물성 원료에서부터 자생식물, 희귀식물, 해양식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천연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해양생물자원은 육상생물자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현재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의 원료뿐만 아니라 신약선도물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해양생물은 육상생물에 없는 특유의 대사과정과 독특한 환경으로 인하여 항산화, 항암, 항응고, 상처재생, 수면 유도 등 다양한 신규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