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노화 연구 동향

  • 등록일2015-11-24
  • 조회수7362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11-17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노화#연구동향#노화연구#항노화#노화질환
  • 첨부파일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노화 연구 동향

 

저자 : 권석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요약문

급속도로 진행되는 사회의 노인화는 더 이상 선진국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우리나라 역시 세계에서 유례없을 정도로 노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2030년 이내에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할 것임이 확실시되고 있다. 급속한 노령화사회로의 진입은 사회적으로 광범위한 충격을 부여할 것임으로, 이에 대한 대비와 더불어, 생명노화의 근본 원인, 노화로 인한 질병의 진단, 예방, 치료로부터 사회적 시스템 확충과 제도의 보완에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동향리포트에서는 현재까지 이뤄지고 있는 노화연구동향에 대해 생명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으며, 노화의 주요 원인, 노화의 주요 기전, 주요 노인성 질환에 대한 대응 노력 등을 포괄하여 최신 연구 성과와 한계점, 향후 연구 방향을 짚어 보았다. 조만간 다가올 초고령화사회 진입으로 인한 사회적 변혁에 대해, 이러한 노화연구가 하나의 적극적 대응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민간과 정부 차원에서의 노화 연구 투자 노력 역시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노화연구 트렌드
     2.1.1. 국내외 연구 진행 및 정책적 지원 상황
     2.1.2. 국내외 항노화 시장 상황
  2.2.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의 노화 요인 및 기전 연구
     2.2.1. 노화의 분자세포적 특징
        2.2.1.1. 1차적 원인
        2.2.1.2. 길항적 원인
        2.2.1.3. 통합적 원인
  2.3. 노화 질환 연구
     2.3.1. 신경계 질환
     2.3.2. 근골격계 질환
     2.3.3. 노화조직 재생기술
  2.4. 장수 유전자 발굴을 위한 연구 동향 및 향후 전망
3. 결론
4. 참고문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