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HPV vaccine의 접종과 장기면역원성
- 등록일2015-12-14
- 조회수5421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11-23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HPV vaccine#HPV#백신#장기면역원성#자궁경부암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HPV vaccine의 접종과 장기면역원성
조완제 (연세대학교 강남 세브란스병원 건강증진센터)
손가현 (한림대학교 강남 성심병원 산부인과)
[서 론]
국내 여성의 자궁경부암 발생율은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15-34세 여성에서 자궁경부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 당 5.2명으로 갑상선암(69.6 명), 유방암(10.8 명)에 이어 3위 이며, 최근 5년동안 자궁경부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주요 암 중 다섯 번째로 높다[1].
자궁경부암 발병에 있어 성접촉에 의한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감염이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HPV는 100 여 개의 유전형이 있고, 이 중 약 18 종은 자궁경부암 유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고위험군 중 HPV16형과 18형에 의한 자궁경부암은 전체 발병율의 70%를 차지한다[2].
2007년 이후 두 종류의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이 허가 받아 사용되고 있다.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40여개 국은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을 국가예방접종 프로그램으로 시행하고 있어 10대 초반의 청소년기 여성의 접종률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단에서는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의 장기면역원성에 대한 임상연구결과에 대해 고찰하고 현 시점에서 국내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 대상자에 대한 추적 관찰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