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Sir2, 그리고 칼로리 제한에 의한 수명연장
- 등록일2015-12-15
- 조회수566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11-23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칼로리#Sir2#노화#칼로리제한#노화생물학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Sir2, 그리고 칼로리 제한에 의한 수명연장
김정윤 (충남대학교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
강우규 (충남대학교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
[서 론]
노화는 왜 일어나는가? 노화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면 노화를 막거나 늦출 수 있을까? 더 나아가 이미 진행된 노화를 되돌릴 수 있을까?
노화에 대한 관심은 불로장생을 원하는 인간의 기본적 욕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러나 노화를 늦추는 것이 단순히 우리의 수명을 늘리는 것만은 아니다. 노화는 암, 당뇨, 치매, 심혈관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병들을 유발하기 때문에[1], 노화 억제는 노화 관련 질병을 근원적으로 예방함으로써 건강수명을 늘릴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인류의 경험과 과학적 연구를 통해 알려진 가장 효과적인 노화 억제 또는 수명연장 방법은 칼로리 제한(calorie restriction)이다.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것은 효모(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 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 ),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 ), 쥐, 원숭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실험 생물들의 수명을 연장하였다[2,3].
또한, 영장류(Rhesus monkey)에서도 칼로리 제한은 신장 질환, 당뇨병, 암, 치매와 같은 노화 관련 질병들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이러한 칼로리 제한의 효과는 대표적인 장수인인 일본 오키나와 거주자의 낮은 질병 발생율과 긴 수명의 요인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5].
따라서 노화에 대한 칼로리 제한 효과를 분자생물학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것은 노화 분야에서 매우 흥미로운 연구주제로 여겨진다. 많은 노화생물학자들이 칼로리 제한과 노화 과정을 연결해 주는 유전자/단백질들을 찾아서 기능을 밝히고, 그와 관련된 생리적 현상들을 연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칼로리 제한이 어떻게 노화를 억제하는 지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