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유방암과 관련된 DNA repair factor가 알츠하이머병에서도 역할
- 등록일2015-12-15
- 조회수5878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5-11-30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알츠하이머병#유방암#DNA repair factor#치매#DNA repair
- 첨부파일
유방암과 관련된 DNA repair factor가 알츠하이머병에서도 역할
- 美 국립보건원 지원 연구에서 불완전한 DNA repair가 치매를 일으킬 가능성 제안

【BRCA1 억제】
연구자들은 치매에 있어서 BRCA1 단백질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서 생쥐의 뇌와 배양기 내의 신경세포에서 BRCA1 단백질의 수준을 저하
* 제공 : Lennart Mucke,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샌프란시스코)
□ BRCA1의 돌연변이 형태는 유방 및 난소암과 연관되어 있으나 최근의 발견에 따르면 뇌에서 정상 BRCA1 단백질은 알츠하이며병과 연관
ㅇ Nature Communication지에 발표된 연구결과는 뇌에서 낮은 수준의 BRCA1 단백질은 치매에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
ㅇ 이번 연구는 미 국립보건원에서 지원
□ 책임저자인 Gladstone 신경질환 연구소 책임자 Lennart Mucke 박사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신경과학 교수인 Joseph B. Martin 박사는 아래와 같이 언급
“하나의 분자가 너무 많은 세포들이 태어나는 암과 너무 많은 뇌 세포들이 죽는 신경퇴행성 질환, 이 두 개의 전혀 다른 반대의 질환에 결정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 Mucke 박사와 그의 연구진은 DNA repair 기작에서의 결함이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인지 장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그들의 연구를 BRCA1에 집중
ㅇ BRCA1은 유전정보인 DNA를 복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ㅇ DNA는 두 개의 가닥으로 된 꼬여있는 사다리를 닮은 이중 나선 구조로 가끔씩 하나 또는 두 가닥에서 절단이 발생하는데 이는 BRCA1을 포함한 DNA repair 단백질들에 의해 복구
ㅇ 이 과정은 DNA가 적절히 복구되지 않으면 세포가 죽기 때문에 세포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
□ Mucke 박사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으로 사망한 환자들의 뇌를 조사해 본 결과, BRCA1 단백질이 낮은 수준으로 존재함을 발견
ㅇ 또한 연구진들은 알츠하이머병 생쥐 모델의 뇌에서도 BRCA1 단백질이 감소해 있음을 확인
ㅇ 건강한 생쥐의 뇌에서 BRCA1을 실험적으로 감소시켰을 때, 그들의 뇌 세포들은 움츠러들고 기능장애가 발생
□ Mucke 박사 연구진은 BRCA1이 인지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
ㅇ 연구진들이 건강한 생쥐의 뇌에서 BRCA1을 감소시키자 학습과 기억에 문제가 발생
ㅇ 알츠하이머병 생쥐 모델에서는 BRCA1 감소에 따라 보다 큰 학습 및 기억의 감소를 확인
ㅇ 또한 BRCA1 감소는 알츠하이머병 생쥐의 뇌에서 DNA 손상의 증가를 유발
□ 뇌 세포에 독성을 주고 신경세포의 사망을 유발하는 베타아밀로이드라고 알려진 단백질 조각의 축적은 알츠하이머병의 전형적인 특징들 중 하나
ㅇ Mucke 박사 연구진은 배양기 내 신경세포에 베타아밀로이드를 첨가하면 BRCA이 감소함을 확인
ㅇ Mucke와 그의 동료들에 따르면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이 BRCA1 단백질을 감소시키고 이는 뇌세포에서의 DNA 손상 증가를 일으켜 치매를 유발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예상
□ 연구비를 지원한 국립 신경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 책임자인 Roderick Corriveau 박사는 신경퇴화 연구의 새로운 연구주제는 이정상적인 DNA 손상 복구가 치매 및 관련 질환에서 신경세포들의 사멸을 일으키는 손상을 보호하는 것라고 언급
ㅇ 또한 이번 연구는 베타아밀로이드가 DNA repair 유전자인 BRCA1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는 능력을 방해하는 것을 보임으로써 이러한 주제를 뒷받침한다고 강조
□ Mucke 박사는 뇌에서의 BRCA1의 기능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그들의 발견으로 건강한 상태 및 질환의 경우 모두에서 필수적인 뇌 기능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BRCA1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강조
□ BRCA1이 치매 치료에 있어서 잠재적인 치료 대상이 될 수 있는지와 암을 일으키는 BRCA1 돌연변이들이 뇌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 국립 신경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NINDS)
- 국가 차원에서 뇌와 신경 시스템에 관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선도
- 뇌와 신경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지식을 찾고 신경질환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미션
★ 미 국립보건원에 대하여 : 미 국립보건원은 국가에서 설립한 의료 연구기관으로 27개 연구소와 센터로 구성. 기초, 임상 및 중개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주요 연방기관이며 질환들의 원인, 대처 및 치료를 연구하고 있음.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경우 www.nih.gov를 방문하기 바람
* 출처 : 보도자료(2015년 11월 30일)
(http://www.nih.gov/news-events/news-releases/dna-repair-factor-linked-breast-cancer-may-also-play-role-alzheimers-disease)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