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산업 및 최신 기술 동향

  • 등록일2016-01-06
  • 조회수8040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15-12-28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산업#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기술동향#이슈리포트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이슈리포트 2015-12호-이슈6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산업 및 최신 기술 동향

 

 

[SUMMARY]


목적
★ 한 국가의 부흥은 기존의 IT 소재부품에서 BT 소재부품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세계적 추세에 따라 전반적인 바이오세라믹 산업을 소개하고

★ 단순히 바이오컨텐츠 혹은 세라믹소재만으로는 해당 산업의 성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는 바야흐로 융복합 기술 전성시대에 즈음하여, 세라믹소재와 바이오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산업의 가능성과 비전을 조망함으로서
★ 극소수 선진기업들이 바이오세라믹 핵심소재 시장을 독과점하는 현황을 타개할 수 있는 수출주도형 및 막대한 규모의 관련 수입 소재를 국산으로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검토함으로서
★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산업을 통해 국민 건강과 삶의 질 증대를 위한 정부의 선제적이고 집중적인 지원 필요성을 주창하고자 함

 

 

주요현황
★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는 추세에 따라 바이오세라믹소재 시장은 연평균 18%의 고성장을 구가하고 있으나 현재 극소수의 선진 기업들이 바이오세라믹 핵심소재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실정
★ 특히, 뷰티케어와 웰니스, 헬스케어, 메디케어 등 기능성 바이오소재 산업을 통해 인체의 조직재생과 치료, 고감도 고신뢰성의 질병 진단, 스마트 약물전달, 환경오염 저감 및 안티에이징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음
★ 타 소재에서는 불가능한 생체친화성, 내마모, 내식성 등 바이오산업에서 요구되는 모든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골소재, 자성소재, 실리카 및 판상분체 등의 바이오세라믹 소재는 융합바이오산업에 필수적이면서 최적의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바이오산업은 가치사슬의 근간인 소재 기술의 취약으로 바이오시장 확대와 제품 다변화 및 임계 성능 향상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

 

 

시사점 및 정책제안
★ 세계 바이오소재 시장 규모는 1,116억 달러로 화학, 금속 소재를 제외한 세라믹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51%로 과반수 점유로서, 고령화사회 진입에 따라 경조직 재생 및 질병 조기진단 등 웰니스 산업의 발전으로 바이오세라믹에 대한 수요는 지속 증가 예상
★ 미국, 유럽, 일본 등 글로벌 선진기업들이 바이오세라믹 핵심 소재 독점 상황이며, 해외 기업은 상용화 단계인 반면 국내는 투자 미흡과 컨트롤타워 부재로 융합바이오세라믹 산업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실정
★ 바이오세라믹 핵심소재의 수입의존도는 심화되고 있으나, 국내 R&D 투자는 매우 취약하므로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의 인프라 구축 및 선제적인 R&D 투자 시급
★ 고부가가치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 개발 및 조기상용화, 인력양성, 기업지원 등 종합 지원이 가능한 거점기관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