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분자광학이미징을 통해 이해하는 신경세포 시냅스의 기능
- 등록일2016-01-07
- 조회수548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5-12-24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시냅스#분자광학이미징#신경세포#광학센서#분자과학기술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분자광학이미징을 통해 이해하는 신경세포 시냅스의 기능
김 성 현(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Seeing is believing”, “듣는 것이 보는 것만 못하다” “白文不如一見”. 우리 주변에서 흔히 듣고 접해본 문구들이다. 모두들 한가지를 이야기 하고 있다. 바로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정보의 전달이 무엇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지리산 정상 천왕봉에서 내려다본 광경과 그랜드 캐년의 웅장한 계곡을 백마디의 말보다 한장의 사진 혹은 동영상으로 전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그만큼 이미징을 통한 정보의 전달이 간편하면서도 강력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생명과학연구에서도 일찍이 시작되었고, 최근의 광학기술 전반의 급속한 발전과 그에 상응하는 광학센서의 발전은 실시간 세포속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변화와 기능의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기고문에서는 현재 생명과학에 많이 사용되는 분자광학기술(광학기기와 광학센서)을 간략히 소개하고, 그 분자광학기술이 머리 속 신경세포 시냅스의 생리적 기능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
- 기술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뉴로모픽 감각 인지 기술 동향―촉각, 후각을 중심으로 2023-12-07
- 기술동향 시냅스 신경과학 최근 연구동향 2022-06-28
- 기술동향 커넥톰 발생의 기전 2021-02-02
- 기술동향 감정 기억의 저장과 회상을 관장하는 편도체(Amygdala)의 신경회로에서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 기억 심상(Engram)과 신경망 진동(Network oscillation)의 중요성 2018-11-12
- 기술동향 단백질 3차 구조 기반 시냅스 접착단백질 작용 기전 이해 2018-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