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당뇨병 약이 뇌졸중 재발을 예방
- 등록일2016-02-24
- 조회수783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6-02-17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당뇨병#당뇨병 약#뇌졸중#심혈관계#뇌 혈관
- 첨부파일
당뇨병 약이 뇌졸중 재발을 예방
미 국립보건원 지원 연구는 재발하는 심혈관계 이상을 예방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
【그림 설명】 뇌 혈관이 막혔을 때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모식도
회색 영역은 뇌졸중의 결과로 영양공급이 되지 않는 뇌 조직을 나타냄
* 제공 : NINDS
□ 제2형 당뇨병에 이용되는 약물인 Pioglitazone이 당뇨병은 없지만 인슐린 저항성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뇌졸중 재발과 심장마비를 예방
ㅇ 국제 뇌졸중 컨퍼런스 2016에서 발표되고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된 뇌졸중 후 인슐린 저항 중재 시험(IRIS*)의 결과들은 이미 뇌졸중을 한 번 겪었거나 일과성 뇌허혈 발작을 지닌 고위험군 환자들에서 뇌졸중과 심장마비를 예방하기 위한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
* Insulin Resistance Intervention after Stroke
ㅇ 이 대규모 국제협력 연구는 미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 신경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NINDS)에서 지원
□ IRIS 시험은 세포대사를 목표로 한 약물이 2차적인 뇌졸중과 심장마비를 당뇨병이 발생하기도 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하는 최초의 연구
ㅇ 인슐린은 인체 내에서 다른 여러 과정들과 함께 대사를 조절하고 혈당농도를 너무 높지 않도록 유지
ㅇ 인슐린 저항성은 인체가 인슐린을 생산하지만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상황
□ NINDS 책임자인 Walter J. Koroshetz 박사는 이번 연구가 향후 심장마비 또는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특정한 대사 이상을 반전시켜서 혈관 질환의 재발을 예방하는 새로운 방법을 나타낸다고 언급
□ 이번 연구의 주저자이자 예일대학교 의대 일반내과 교수인 Walter N. Kernan 박사는 IRIS 시험은 대사에 있어서 pioglitazone와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 운동, 식이요법 등의 다른 중재들의 혈관에 미치는 이점을 시험하기 위한 보다 많은 연구의 가치를 지원한다고 언급
□ 허혈성 뇌졸중 또는 일과성 뇌허혈 발작을 과거 6개월 내에 경험한 7개 국의 3,000명 이상의 환자들에게 표준 치료와 함께 추가적으로 5년까지 무작위적으로 pioglitazone 또는 위약을 제공
ㅇ 허혈성 뇌졸중 및 일과성 뇌허혈 발작은 대뇌 혈관이 막혀서 뇌 조직으로의 산소 및 영양분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발생 가능
□ 이번 연구에서 뇌졸중 또는 심장마비는 pioglitazone을 섭취한 참가자들의 9%, 위약을 제공받은 환자들의 11.8%에서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24% 감소
ㅇ 최대 5년까지 pioglitazone을 제공받은 환자 1,000명에서 28건의 뇌졸중 또는 심장마비가 예방되었다는 결론
□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의 특징이지만 당뇨병을 가지지 않은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50% 이상에서도 발생
ㅇ 과거 연구에서 인슐린 저항성은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제안되었지만 IRIS 시험은 이를 치료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로 치료법이 뇌졸중 재발과 심장마비의 위험을 감소시켰음을 제안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pioglitazone은 IRIS 시험에서 연구된 사용법으로 FDA 허가를 받지 못하였음
ㅇ 이번 연구에서 pioglitazone은 연구 참가자들에서 당뇨병 위험도 52% 저감
□ 이번 연구는 골절의 증가된 위험이라는 알려진 추가적인 부작용도 증명
ㅇ 뇌졸중 재발 방지를 위한 최선의 전략을 선택하도록 의사들과 환자들을 돕기 위해 pioglitazone에 의한 골절 위험을 규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ㅇ 의료 행위에 사용하기 위해 승인된 대로 이 약은 추가적인 부작용들도 보임
□ Kernan 박사는 우리의 환자들에서 장점을 극대화하고 심각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개발하는 희망을 가지고 pioglitazone이 뇌졸중과 심장마비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골절위험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결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
ㅇ 이번 연구는 NINDS NS04486 연구비로 지원
ㅇ 국립 신경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NINDS)
- 국가 차원에서 뇌와 신경 시스템에 관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선도
- 뇌와 신경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지식을 찾고 신경질환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미션
ㅇ 미 국립보건원에 대하여 : 미 국립보건원은 국가에서 설립한 의료 연구기관으로 27개 연구소와 센터로 구성
- 기초, 임상 및 중개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주요 연방기관이며 질환들의 원인, 대처 및 치료를 연구
-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경우 www.nih.gov 방문 요망
【참고문헌】
Kernan WN et al. Pioglitazone after Ischemic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February 17, 2016.
* 출처 : 보도자료(2016년 2월 17일)
(http://www.nih.gov/news-events/news-releases/diabetes-drug-may-prevent-recurring-strokes)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