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Axon (신경세포 축삭) 퇴행 연구의 역사와 필요성

  • 등록일2016-03-02
  • 조회수6077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2-29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신경세포 축삭#액손#퇴행연구#신경세포#신경신호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Axon (신경세포 축삭) 퇴행 연구의 역사와 필요성

 

신정은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서 론

신경세포는 타겟조직에 신경자극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를 위해 전기적 신경신호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axon (축삭) 부위를 가진다. 따라서 axon이 올바른 타겟에 정상적으로 연결을 형성하고 그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신경계의 기능에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하지만 axon의 길이는 신경세포와 타겟조직 간의 거리에 따라 사람의 경우 수십 마이크로미터에서 1미터 가량에까지 이르게 되므로, axon은 다양한 종류의 stress에 취약하게 된다. 실제로 상해를 입은 이후나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앓는 경우 axon이 손실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신경세포는 하나만의 axon을 가지므로 axon이 손실되면 해당 신경세포의 본 기능에 따라 인지능력 상실, 전신마비, 하반신마비, 감각기능 상실 등의 결함이 나타난다. 특히 사회가 고령화되어 신경퇴행성 질환에 의해 고통받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axon 손실의 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방지/지연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현재까지 직접적인 치료방법이 없는 신경퇴행성 질환들의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단에서는 axon 손실의 주요 조절기전을 밝혀온 연구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 소개하고 그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