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경기바이오인사이트 제14호]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동향 및 미래전망 등

  • 등록일2016-03-07
  • 조회수9454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1-07
  • 출처
    경기과학기술진흥원(g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줄기세포#바이오의약품#항암면역세포치료제#줄기세포 치료제 #항암
  • 첨부파일

 

경기바이오인사이트 제14호

 

 

[contents]

 

BIO Trend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동향 및 미래전망

정형민 |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BIO TechnologyⅠ

플라스미드 기반 바이오의약품 개발 방향

정문섭 | 진원생명과학(주) 연구소장

 

BIO TechnologyⅡ

항암면역세포치료제 개발의 난제와 해결방안 제안

황유경 | (주)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장

 

BIO TechnologyⅢ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소개의 글

정재균 | 바이로메드 연구소장

 

BIO FocusⅠ

난치병 환자들에게 드리는 희망 첫걸음 세계 최초

타가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CARTISTEM)ⓡ

정상영 | 메디포스트(주) 생명공학연구소 연구팀장

 

BIO FocusⅡ

줄기세포와 줄기세포치료제의 이해

이택기 | SCM생명과학연구소장

 

BIO Opinion

국가 성장동력으로서의 줄기세포·재생의료 산업

박소라 | 인하대학교 글로벌 줄기세포ㆍ재생의료 연구개발촉진센터(GSRAC)

 

BIO News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동향 및 미래전망


정형민 |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줄기세포는 인체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세포로서 거의 모든 조직 및 장기에 극소수로 존재하며 우수한 증식능과 다양한 세포로의 분화능을 지니고 있는 세포를 의미한다. 골수, 혈 액, 지방, 태반 등 다양한 체조직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불임 치료후 기증받은 수정란으로부터 생산할 수도 있다. 최근, 체세포를 리프로그래밍이라는 기술을 통해 수정란에서 만들 수 있는 만능 줄기세포를 생산하는 기술도 개발되어 있다. 줄기세포가 지닌 증식능과 분화능은 2000년대 이르러 이를 질병을 치유할 수 있는 치료제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진 행되었으며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30,000건이 넘은 다양한 질환에 대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인식하여 정책 적 지원을 진행하는 분야이다. 줄기세포는 비단 난치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세포치료제로서 뿐만아니라 최근에는 인체모 사 가능성을 보유한 바이오연구재료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 어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후보물질 스크리닝이나 약물의 독 성평가가 가능해질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바이오프린팅 기술 등과의 접목을 통한 3차원 수준의 인공조직 및 장기의 생산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