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암 치료를 위한 miRNA의 in vivo 전달: 도전과 전략

  • 등록일2016-03-31
  • 조회수6765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3-29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암 치료#유전자 발현#종약억제유전자#miRNA#in vivo 전달
  • 첨부파일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암 치료를 위한 miRNA의 in vivo 전달: 도전과 전략

 

저자 : 이상곤 (중앙대학교)

 

요약문

작은 비-번역 RNA인 miRNAs는 전사후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고 표적유전자의 폭넓은 범위를 억제시킬 수 있다. 암세포에 비정상적으로 많이 발현된 miRNA는 하위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하고 암의 형성과 진행에 영향을 줌으로써 유전자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miRNA에 의해 조절되는 종양억제 유전자는 암에서 세포주기진행, 대사, 세포사, 신생혈관생성, 전이, 면역억제를 매개한다. 최근, miRNA는 암진단의 바이오마커와 치료대상 및 치료 도구로서 주목 받고 있다. miRNA가 암과 관련된 여러 개의 유전자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miRNA를 사용한 치료방법은 중요하다. 하지만, miRNA를 기반으로 한 암 치료에서 어려운 점은 miRNA치료제를 생체 내에 안전하고, 효율적이고 특이적으로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리뷰에서 miRNA기반 치료를 위한 수송체 개발의 도전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다.

 

본 자료는 In vivo delivery of miRNAs for cancer therapy: Challenges and strategies. Adv Drug Deliv Rev 2015; 81: Pages 128?141 의 논문을 한글로 번역,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현재 암 치료법의 한계점
  1.2. miRNA기반 암치료법의 장점
2. miRNA의 기전
3. 암에서의 miRNA
  3.1. 세포증식과 세포사
  3.2. 대사
  3.3. 전이와 신생혈관생성
  3.4. 암 진단과 치료에서의 miRNA
4. miRNAs: 치료제인가, 치료의 대상인가?
5. miRNAs의 약물동력학과 약력학
6. miRNA 전달의 현재 한계점
  6.1. 암조직의 물리적, 생리학적 장벽에 의한 miRNA의 낮은 투과
  6.2. 수정되지 않은 miRNA 길항제, 유사체의 혈중 분해와 배설
  6.3. ssRNA, dsRNA같이 면역독성 유발 가능성
  6.4. miRNA노출로 인한 신경독성
  6.5. 비효율적 유전자 억제로 인한 miRNA의 낮은 세포 내 전달과 응집
  6.6. miRNA의 부작용
  6.7. 부족하거나 포화된 miRNA 프로세싱 효소에 의한 miRNA 기능장애
7. 암 치료를 위한 생체 내 miRNA 전달 전략
  7.1. miRNA의 국소 전달
  7.2. miRNA의 전신 전달
     7.2.1. 수정된 miRNA 길항제 혹은 유사체
     7.2.2. miRNA의 바이러스성 전달
     7.2.3. miRNA의 비-바이러스성 전달
8. 미래 전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