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지카 바이러스 연구 위해 긴급 대응 연구비 170만 달러 지원
- 등록일2016-05-18
- 조회수607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05-11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지카 바이러스 연구#지카 바이러스#긴급 대응 연구비#바이러스#생태학적
- 첨부파일
지카 바이러스 연구 위해 긴급 대응 연구비 170만 달러 지원
- 바이러스의 생태학적인 전파 동력학을 다루기 위한 연구비 지원

【그림설명】
ㅇ 지카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모기 중 하나인 아시아 호랑이 모기, Aedes albopictus가 북쪽까지 영향을 미침
* 제공 :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
□ 빠르게 주요한 공공 보건 위협이 되고 있는 지카 바이러스의 전파를 멈추는 새로운 방법을 찾기 위하여, 연구재단 환경 생물학 부문의 감염성 질환의 생태학 및 진화(EEID*) 프로그램은 총 170만 달러의 9개 긴급 대응(RAPID) 연구비를 지원
* Ecology and Evolution of Infectious Diseases
□ 연구재단 생물학 부문 부책임자 James Olds는 각각의 새로운 감염성 질환은 공공 보건에 대한 현재 진행되는 도전을 나타낸다고 언급
ㅇ 긴급한 필요를 인지해서 연구재단은 전파 속도, 감염된 사람의 숫자 및 공공 보건 위협으로써 지카 바이러스의 가능한 내구성 등을 이해하고 다음 번 창궐을 대비하도록 돕기 위하여 이러한 RAPID 연구비를 마련하였다고 강조
새롭게 발생한 위협
□ 1947년 우간다에서 발견된 후, 지카 바이러스는 1950년부터 아프리카에서 아시아까지의 적도 지역에서 보고되어왔음
ㅇ 2014년 이 바이러스는 동쪽으로 프랑스 폴리네시아로 전파되었고
ㅇ 2015년에는 멕시코, 중미, 푸에르토리코를 포함한 카리브해 연안 및 남아메리카에서 창궐
□ 지카 바이러스는 감염된 Aedes aegypti 모기에게 물림으로써 인간들에게 전파
ㅇ 이 모기는 전 세계에 걸쳐서 발견되기 때문에 지카 바이러스 창궐은 새로운 국가들로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고 과학자들은 언급
□ 이제, 연구자들은 서반구에서 질병의 위험에 놓인 사람의 수를 증가시키는 두 번째 모기인 “아시아 호랑이 모기”라고 알려진 Aedes albopictus에서 지카 바이러스를 검출
□ 미국에서 주로 남동부 및 걸프만 연안에서 발견되는 Aedes aegypti와는 달리, Aedes albopictus는 북쪽으로는 뉴잉글랜드와 남부 오대호 주들까지에 해당하는 영역을 보임
ㅇ 미국에서 모기들이 가장 많아지는 여름 동안, Aedes albopictus는 종종 Aedes aegypti보다 흔함
□ 지카 증상들은 발열, 발진, 관절 통증 및 결막염(“분홍색 눈”)
ㅇ 보통 증상은 며칠에서 일주일까지 지속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신 중에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여성은 소두증을 가진 아이를 낳게 될 확률이 증가
ㅇ 또한 지카 바이러스는 성인에게서 근육이 심하게 약화되는 Guillain-Barre 증후군과 같은 신경학적인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음
지카에 대한 빠른 대응
□ 연구재단의 EEID 프로그램은 예보 모델의 개발 및 시험, 지카와 같은 감염성 질환들의 전파 동력학을 지배하는 원리의 발견 등에 연구비를 지원
□ 연구재단 지카 빠른 대응 프로젝트는 아래의 내용을 포함
ㅇ 지카 전파와 통제의 환경적인 동인들
ㅇ 에콰도르 고위험 지역에서의 지카 매개체-기후 동력학
ㅇ 지카 바이러스 전파의 추적과 예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불확실성의 극복
ㅇ 전 세계에 걸친 지카 및 유사 바이러스의 공유되는 역학에 대한 데이터 기반 수학적 모델링
ㅇ 극소사상충 선충류(혈액 병원균)에 의한 지카 바이러스 전파의 잠재적인 증강
□ SUNY Upstate 의대의 Anna Stewart가 이끄는 RAPID 지원 연구의 한 사례는 에콰도르 남부 해안 지역에서 Aedes aegypti 모기들을 잡아서 지카 바이러스 전파에 대한 사회-생태학 및 기후 대응들에 관해 연구
ㅇ 에콰도르는 아메리카 대륙의 26개 국 중 하나로 미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에 따르면 활발한 지카 바이러스 전파가 보고되었음
□ 과학자들이 일하고 있는 에콰도르의 Machala, Huaquillas, 및 Portovuelo/Zaruma 등의 마을은 기후, 고도 및 사회경제적 조건들과 함께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의 양에도 차이
ㅇ 최근 연구들에서 Machala는 Aedes aegypti 유충이 라틴 아메리카 및 아시아 10개국에서 조사된 모든 위치 들 중 가장 많았으며 이는 바이러스 전파의 높은 위험성을 의미
연구재단 지카 RAPID 연구비
□ David Abramson(뉴욕 대학교)
ㅇ 진화하는 위험성 소통 도전 : 과학적, 사회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의 지카 바이러스 감염 위험의 현저성과 정책 불확실성 및 담론[연구재단 사회, 행동 및 경제 과학부문과 공동 지원]
□ Derek Cummings(플로리다 대학교)
ㅇ 전 세계에 걸친 지카 및 다른 아르보바이러스들에서 공유되는 역학에 대한 데이터 기반의 수학적 모델링
□ Nina Fefferman(Knoxville 소재 테네시 대학교)
ㅇ 중재 척도들에 걸쳐 위험 인지 및 관련된 요구에서의 환류를 통한 지카 통제 효과성 모델링
□ Courtney Murdock(조지아 대학교)
ㅇ 지카 전파 및 통제의 환경적 동인들
□ Alex Perkins(Notre Dame 대학교)
ㅇ 지카 바이러스 전파에 대한 추정 및 예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불확실성 극복
□ Michael Riehle(아리조나 대학교)
ㅇ Aedes aegypti 모기들에서의 지카 바이러스의 외부 잠복기(EIP) 및 난소를 통한 전파 가능성의 결정
□ Anna Stewart(뉴욕대학교, Upstate 의과대학)
ㅇ 에콰도르 고위험 지역에서의 현장 매개체 동력학
□ Jefferson Vaughan(노스다코다 대학교)
ㅇ 극소사상충 선충류에 의한 지카 바이러스 전파의 잠재적인 증강
□ Gonzalo Vazquez Prokopec(Emory 대학교)
ㅇ 지카 바이러스 전파를 저지하기 위한 공간적 이질성의 이용
□ 연구진 및 관련정보
ㅇ 문의 및 연락처
- Cheryl Dybas, NSF, (703) 292-7734, cdybas@nsf.gov
ㅇ 관련 웹 주소
- Seeking Zika: Where and when will Zika-carrying mosquitoes strike next?: http://www.nsf.gov/news/news_summ.jsp?cntn_id=137712
- Potential Zika virus risk estimated for 50 U.S. cities: https://www.nsf.gov/news/news_summ.jsp?cntn_id=137907
- National Science Foundation issues call for Zika virus proposals: http://www.nsf.gov/news/news_summ.jsp?cntn_id=137621
- NSF Special Report: Ecology and Evolution of Infectious Diseases: http://www.nsf.gov/news/special_reports/ecoinf/
- To slow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NSF, NIH, USDA support new research: https://www.nsf.gov/news/news_summ.jsp?cntn_id=136044

【그림설명】
ㅇ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까지 지카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Aedes aegypti 모기
* 제공 : 국립보건원

【그림설명】
ㅇ 2016년 4월 18일 현재 지카 바이러스 전파가 활발한 국가 및 영역들
* 제공 :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

【그림설명】
ㅇ 지카 바이러스의 투과 전자 현미경(TEM) 사진
* 제공 :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

【그림설명】
ㅇ 곤충 방충제의 사용은 여러 지역에서 권할만하다고 과학자들은 언급
* 제공 : 질병통제 및 예방센터
【그림설명】
ㅇ 모기 함정은 멕시코시티와 같은 장소들에서 이제 흔함
* 제공 : 멕시코시티 보건국
* 출처 : 보도자료(2016년 5월 11일)
(http://www.nsf.gov/news/news_summ.jsp?cntn_id=138472&WT.mc_id=USNSF_51&WT.mc_ev=click)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