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모유수유 산모를 위한 HIV 치료는 실질적으로 아기로의 전파 제거

  • 등록일2016-08-04
  • 조회수518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6-07-18
  • 출처
    NIH 미국 국립보건원
  • 원문링크
  • 키워드
    #HIV
  • 첨부파일

 출처 : NIH 미국 국립보건원


모유수유 산모를 위한 HIV 치료는 실질적으로 아기로의 전파 제거

 


□ 사하라 남부 및 인도에서 수행된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들에 따르면, 면역시스템이 건강한 상태인 HIV 감염 어머니들에서 모유수유 기간 동안 3가지 약물로 구성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는 모유를 통한 자녀로의 HIV 전파를 실질적으로 제거

 

□ 국립보건원이 지원한 현재 진행 중인 모자 생존 촉진(PROMISE*) 연구로부터 얻어진 이러한 발견들은 HIV 감염된 모든 임신 및 모유수유 여성들을 위한 일생동안의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권고한 2015년에 도입된 세계보건기구의 가이드라인을 지지

    * Promoting Maternal and Infanct Survival Everywhere

  ㅇ PROMISE 연구자들은 3가지 약물로 구성된 어머니에 대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와 매일 신생아에 대한 nevirapine 치료 병행은 안전하고 모유수유 동안의 HIV 전파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임을 발견

  ㅇ 전반적으로 이 연구에서의 신생아 사망률은 모든 아기들의 첫 해 생존과 가까울 정도로 극히 낮았음

 

□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성 질환 연구소 책임자 Anthony S. Fauci 박사는 이러한 발견은 HIV에 감염된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의 혜택을 재확인시켜주는 상당한 증거를 추가한다고 언급

  ㅇ 이번 연구에서의 높은 신생아 생존이 강조하듯이 모체에 대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가 모유수유의 건강상의 장점을 보존하면서 모유를 통한 HIV 전파의 위험을 안전하게 최소화한다고 강조

 

□ PROMISE는 모두 국립보건원 산하인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성 질환 연구소와 Eunice Kennedy Shriver 국립 아동보건 및 인간발달 연구소에 의해 지원받았으며 국제 어머니 소아 청소년 AIDS 임상시험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

  ㅇ 연구자들은 7월 19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개최된 제21회 국제 AIDS 컨퍼런스에서 새로운 결과들을 포스터로 발표

  ㅇ 이 발견들은 7월 16일 제8회 HIV 소아과학 국제 워크샵 예비회의에서도 발표되었음

 

□ 2010년에 착수된 PROMISE는 어머니와 아동 모두의 건강을 보존하면서 임신, 출산 및 출산 후에 HIV 감염 여성으로부터 아기로의 HIV 전파 위험을 어떻게 안전하게 저감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중 요소 연구

  ㅇ 2014년에 보고된 연구결과들은 임신 및 출산기간 동안의 출산전후 HIV 전파 예방을 위해 어머니에 대한 3가지 약물로 구성된 치료가 다른 치료법 대비 우수함을 확인

 

□ 이번 새로운 발견은 수유기간 동안 HIV 모자 감염 예방을 위한 2개 항레트로바이러스 처방계획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비교하는 PROMISE 연구의 한 요소로부터 기인

  ㅇ 이 연구에는 모유수유가 흔하고 신생아 건강을 위해서 권장되는 자원이 제한된 조건에서 사는 모자 쌍들을 포함

  ㅇ 안전하고 깨꿋한 물이 없는 지역의 HIV에 감염된 어머니는 모유수유의 신생아에 대한 건강상 혜택과 안전하지 않은 물 공급으로 인한 분유의 위험 때문에 모유수유를 하도록 권장됨

  ㅇ 모유수유는 영양실조를 예방하도록 돕고 모유의 항체들이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설사 및 호흡기 감염들로부터 아기들을 보호

 

□ 연구자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라위, 탄자니아,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및 인도의 임상연구 장소들에서 2011년 6월부터 2014년 10월 사이에 HIV에 감염된 어머니들과 그들의 HIV에 감염되지 않는 신생아들로 구성된 2,431 쌍을 등록

  ㅇ 평균적으로 여성들은 증상이 없었으며 좋은 면역시스템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대적으로 높은 CD4+ 세포 수준을 보유

  ㅇ 연구자들은 어머니와 신생아를 무작위적으로 두 가지 치료계획 중 하나에 배치

  ㅇ 한 치료계획은 연구기간 동안에 걸친 3개 약물로 구성된 어머니에 대한 지속적인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와 생후 6주까지 신생아에 대한 매일 nevirapine 투여를 포함

  ㅇ 두 번째 치료계획은 출산 1주 후까지 어머니에 대한 3개 약물로 구성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와 생후 1주 후부터 연구종료 시까지 지속된 신생아에 대한 nevirapine의 매일 투여로 구성

  ㅇ 참가자들은 18개월 또는 어머니가 수유를 중단(평균적으로 출산 후 15개월)할 때까지 중 빠른 시점까지 추적 관찰

 

□ 연구자들은 모체에 대한 3가지 약물로 구성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와 함께 신생아 nevirapine 치료는 HIV 모자감염에 대한 보호를 제공함을 발견

  ㅇ 두 연구 간의 출산전후 감염 비율은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매우 낮아서 6개월 시점에서 0.3%와 1세 시점에서 0.6% 수준

  ㅇ HIV 감염된 어머니의 모유수유가 길어질수록 신생아에 대한 HIV 전파의 위험성도 증가

  ㅇ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어떠한 중재도 없는 경우에는 HIV 감염 어머니로부터 임신, 분만, 출산 또는 모유수유 동안 자녀로의 HIV 전파 비율은 역사적으로 15에서 45% 사이

  ㅇ 어머니와 자녀에서 부작용은 두 가지 연구 모두에서 유사하게 낮은 비율로 발생

  ㅇ 자원이 제한된 국가들에서 신생아 사망률은 높을 수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거의 99%의 아기들이 1세 생일까지 생존

 

□ NICHD의 모자 감염성 질환 부문 Nahida Chakhtoura 박사는 다른 급식대안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중저소득 국가들의 HIV 감염 어머니들은 그들의 신생아를 위해 모유수유가 안전한 선택임을 확신할 수 있다고 언급

 

□ 절차 위원장인 Mary Glenn Fowler 박사는 PROMISE 팀과 PROMISE 어머니들은 소아 감염의 극도로 낮은 비율과 모체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사용에 따른 우수한 신생아 생존에 만족한다고 언급

  ㅇ 이러한 결과들은 모유수유 동안 모자 감염의 위험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어머니가 받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강조

 

□ 또한 소아 nevirapine은 만약 어머니가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준수하거나 견디기 어려운 경우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안을 제공한다고 연구자들은 제안

 

□ 또한 AIDS 2016에서 결과를 발표한 PROMISE의 다른 요소에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지속하거나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산후에 중단하는 것으로 무작위적으로 지정된 상대적으로 강한 면역 시스템 건강을 가진 1,652명의 HIV-양성 비수유 여성들을 조사

  ㅇ 연구 참여자들의 두 집단 모두 유사하게 낮은 AIDS 규정 및 심각한 비 AIDS 상황 비율을 보인 반면, 다른 HIV-관련 질환들은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지속한 여성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음

  ㅇ 이러한 발견들은 여성들을 위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의 혜택들에 대한 대규모 국제적인 무작위 임상시험으로부터의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

 

□ 추가적인 정보를 위해서는 ClinicalTrials.gov에서 NCT01061151 및 NCT00955968을 이용해서 확인

 

★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성 질환 연구소

 - 미국과 전세계에 걸쳐 감염성 및 면역 관련 질환의 원인을 연구하고 이들 질환을 예방, 진단 및 치료하기 위한 보다 나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고 지원

 - 뉴스 등 NIAID 관련 자료는 웹싸이트에서 찾을 수 있음

 

★ Eunice Kennedy Shriver 국립 아동보건 및 인간발달 연구소(NICHD,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 출생 전 후의 발달, 모자 및 가족 보건, 생식 생물학 및 인구 문제, 의학적인 재활 등에 관한 연구를 지원

 - 추가적인 정보를 위해서는 연구소 홈페이지 https://www.nichd.nih.gov를 방문

 

★ 미 국립보건원에 대하여 : 미 국립보건원은 국가에서 설립한 의료 연구기관으로 27개 연구소와 센터로 구성

 - 기초, 임상 및 중개 의료 연구를 지원하는 주요 연방기관이며 질환들의 원인, 대처 및 치료를 연구

 -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한 경우 www.nih.gov 방문 요망

 


【참고문헌】

TE Taha et al.  Comparing maternal triple antiretrovirals and infant nevirapine prophylaxis for the prevention of mother-to-child transmission of HIV during breastfeeding. Oral presentation at the 8th International Workshop on HIV Pediatrics and poster presentation at the 21st International AIDS Conference (AIDS 2016) Durban, South Africa.

J Currier et al.  Randomized Trial of Stopping or Continuing ART among Post-partum women with Pre-ART CD4 >400 cells/mm3 (PROMISE 1077HS).  Oral presentation at the 21st International AIDS Conference (AIDS 2016) Durban, South Africa.

 


* 출처 : 보도자료(2016년 7월 18일)
        (https://www.nih.gov/news-events/news-releases/hiv-therapy-breastfeeding-mothers-can-virtually-eliminate-transmission-babies)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