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디지털 세포 이미징 장비 개발 : KEIT PD 이슈리포트 2016-12호-포커싱이슈

  • 등록일2017-01-09
  • 조회수6024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7-01-02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 세포 이미징 장비#세포 이미징 장비#이미징 장비#KEIT#PD 이슈리포트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이슈리포트 2016-12호-포커싱이슈

디지털 세포 이미징 장비 개발

 

 

디지털 세포 이미징 장비 개발

전 세계적으로 광학 현미경 시장은 2016년 현재 약 2조4000억 원 규모로 추산되며, 이 중 세포 관찰을 주목적으로 하는 형광 현미경(Fluorescence Microscope) 시장이 약 1조4000억 원을 차지하고 있다. 비교적 오래된 기술로 평가되기도 하는 광학 현미경 기술은 첨단 디지털 기술의 접목과 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속적이고 범국가적인 투자가 이어지면서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2021년에는 광학 현미경 세계 시장 규모가 약 3조2000억 원, 이 중 형광 현미경 시장이 약 1조6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개발이 필요한 이유
광학 현미경은 전체 시장의 52% 이상을 학교와 연구소에서 차지하고 있는 기초연구 장비산업으로, 국가적인 차원의 지속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한 비교적 안정적인 수요 시장이 형성돼 있다. 이러한 산업 환경 특성을 바탕으로 형광 현미경 외에 특수 현미경인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 초해상도 현미경(Super-resolution Microscope) 시장도 꾸준한 성장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시장의 비중이 전 세계 시장의 약 24.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국내 시장 규모는 아시아 시장의 약 10%로, 다소 보수적으로 산정할 경우 2016년 현재 국내 광학 현미경 시장은 약 600억 원, 이 중 형광 현미경 시장은 약 340억 원 정도로 추정된다. 2021년에는 광학 현미경 시장이 약 860억 원, 형광 현미경 시장이 약 43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