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혈관 리모델링에서 microRNA의 기능

  • 등록일2017-01-11
  • 조회수5736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12-29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miRNA#microRNA#혈관 리모델링#혈관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혈관 리모델링에서 microRNA의 기능

 

 

강하라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서론


혈관의 리모델링은 혈관 손상 후 여러 요소에 의해 조절되는 병리학적인 변화이며, 폐동맥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1]. 리모델링 과정은 세포 증식, 이동, 세포죽음과 세포외기질에 변화를 일으켜 혈관의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한다. 내피세포와 평활근세포가 혈관 손상에 반응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신생내막을 형성하면서 리모델링을 진행한다. 또한 혈관벽의 염증 증가도 혈관 리모델링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2]. 관상동맥에 스탠트 삽입 후 일어나는 내피세포 박리와 같은 내피세포의 손상은 혈관 염증을 초래한다. 혈관 손상 후, 내피세포와 염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은 평활근세포의 증식, 이동, 세포외기질 단백질의 침전을 유발한다. 비록 최근 20년동안 혈관 손상 후 일어나는 리모델링의 분자적 기전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도 효과적인 치료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Tranome 분석에 따르면, 인간의 전사체 중에 오직 1.5-2%만이 단백질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microRNA(miRNA)와 long noncoding RNA를 포함하는 noncoding RNA가 전사체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3]. 최근 여러 연구결과들은 혈관 리모델링에서 miRNA 기능의 중요성을 암시하고 있다. 이 리뷰에서는 miRNA에 의한 병리적 혈관 리모델링의 조절에 관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