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뇌신경질환에 있어서 시냅스 접착단백질의 역할
- 등록일2017-01-12
- 조회수623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6-12-29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뇌신경질환#시냅스#시냅스 접착단백질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뇌신경질환에 있어서 시냅스 접착단백질의 역할
송 민 석
한국뇌연구원
서 론
한 인간이 생각하고, 행동하고, 또한 외부자극을 느끼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뇌 속의 신경세포들은 끊임없이, 빠르게, 반복적으로 서로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과정은 신경세포 간의 시냅스 (Synapse)에서 일어난다. 신경세포의 시냅스는 뇌기능의 기본 단위로서, 0.0001 초 단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광대한 뇌신경회로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인간의 사고와 뇌신경질환의 기작을 연구함에 있어, 시냅스는 매우 근본적이며 중요한 주제이다. 시냅스에는 그 형성과 유지, 신호전달, 소멸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 단백질들이 존재한다. 본 논단에서는 시냅스 단백질 중 그 초기 형성과 유지,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 (Synaptic Adhesion Molecule, SAM)에 대한 연구 동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궤양성 (Ulcerative Colitis) 대장염치료제 임상 개발 지침
-
다음글
- 해조류 섭취와 당뇨병 발생의 연관성: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연구 결과
관련정보
지식
동향
- 기술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뉴로모픽 감각 인지 기술 동향―촉각, 후각을 중심으로 2023-12-07
- 기술동향 시냅스 신경과학 최근 연구동향 2022-06-28
- 기술동향 커넥톰 발생의 기전 2021-02-02
- 기술동향 감정 기억의 저장과 회상을 관장하는 편도체(Amygdala)의 신경회로에서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 기억 심상(Engram)과 신경망 진동(Network oscillation)의 중요성 2018-11-12
- 기술동향 단백질 3차 구조 기반 시냅스 접착단백질 작용 기전 이해 2018-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