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인공지능 양대 산맥인 IBM과 구글
- 등록일2017-03-20
- 조회수5543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7-03-07
-
출처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IBM#구글#인공지능
- 첨부파일
출처: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인공지능 양대 산맥인 IBM과 구글
[목 차]
0. 주요 내용 요약
1. IBM 왓슨(Watson)
2. IBM 왓슨의 특징
3. IBM 왓슨의 사업화
4. IBM 기술개발
5. 구글 알파고(AlphaGo)
6. 구글 AI 활용
7. 구글의 AI 기술 확보 방법
8. 구글의 AI 생태계
9. IBM 왓슨과 구글 알파고의 차이점
10. 맺음말
[요 약]
□ IBM 왓슨(Watson)과 구글 알파고(AlphaGo)는 전 세계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가장 뛰어나면서 널리 알려진 제품들로 최근 치열한 경쟁관계에 있음
□ IBM은 AI 개발에 있어서 오랫동안 투자해 온 기업 중 하나인데, IBM의 왓슨은 말, 글씨, 그림 등의 비정형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해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어 사람이 활용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음성 인식 및 자연어 처리에 강점이 있음
□ IBM 왓슨은 이미 상용화가 많이 진행되었는데, 의료계에서는 암 진단 및 최적의 치료법을 제안하고, 금융계에서는 개인 자산관리 및 투자종목 추천들에 활용 중이며, 산업계에서는 사물인터넷과 연계해 생산기기나 장비의 관리에 활용되고 있음
□ IBM이 주로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반해, 구글은 AI계의 스타트업들을 적극적으로 인수함으로써 기술을 확보해 나가고 있음
□ 구글의 알파고의 AI 엔진은 바둑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며, 구글의 AI 기술은 이미 구글 번역기, 포토, 지도, 클라우드 등의 구글 서비스와 구글카 등에 적용되고 있음. 최근에는 헬스케어를 포함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AI를 사업화하려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음
□ IBM 왓슨이 사람이 더 나은 결정 내리도록 돕는 ‘의사결정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반해, 알파고는 ‘자체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린다는 데 두 AI의 큰 차이가 있음
□ 아울러, AI를 운영하는 컴퓨터 하드웨어에도 차이점이 있는데, IBM은 주로 하나의 슈퍼컴퓨터를 활용하는데 비해 구글은 PC와 같이 소형 컴퓨터를 여러 대 연결한 분산컴퓨팅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
□ 두 기업은 딥러닝을 통해 AI를 훈련시키는 방식에 있어서도 다른데, IBM은 사람이 정리한 자료나 논문을 사용해 왓슨을 교육하는데 반해, 구글은 자사의 서비스를 통해 확보한 방대한 양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가지고 AI를 교육시키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