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뇌졸중 치료제 개발: 실망과 희망

  • 등록일2017-04-04
  • 조회수669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7-03-29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뇌졸중 치료제#뇌졸중#뇌 혈관 질환#뇌 혈류#뇌질환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뇌졸중 치료제 개발 : 실망과 희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뇌신경과학교실
김원기

 

서론
 오십대 후반으로 접어드니 주변 지인들의 부모님이 뇌졸중을 경험하고 힘들어 하는 것을 자주 본다.
20년 이상을 뇌졸중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노력해 왔는데 이제 가까이 왔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생면부지의 어떤 분은 내가 뇌졸중 치료제 개발을 한다니 빠른 시일 내에 개발해 달라는 당부를 수시로 한다. 어깨가 무거워 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뇌졸중은 뇌 혈류에 생긴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유발되는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통칭하는 말로, 의학적으로는 뇌 혈관질환에 속한다. 뇌졸중은 일반적으로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뇌 혈류가 차단되어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혈류가 뇌 내로 유출되어 발생하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분류된다. 이 중 허혈성 되졸중은 전체 뇌졸중 환자의 80%에 달할 정도로 발생빈도가 높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뇌졸중은 주된 사망 원인 2위로서 매년 전 세계적으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이 6백만명 이상에 이르는 매우 심각한 질환이다. 2030년 우리나라의 뇌졸중 발생 건수를 추정해 보면 2004년 총 104,937건이던 발생건수는 2030년에는 35만 건으로 가파르게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뇌졸중 치료제 관련 시장은 2012년 6,219억원이었으며, 2017년에는 1조 4,054억원으로 5년 사이에 2.2배 이상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도 기존치료제인 tPA효력 한계와 부작용을 개선 할 새로운 뇌졸중 치료제의 부재로 뇌졸중 환자에 대한 예후가 좋지 않아 사회적 보건 비용까지 포함하면 미국에서만 매년 40조원의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WHO 201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