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웨어러블 헬스케어용 화학공정소재 기술동향 : KEIT PD 이슈리포트 2017-4호-이슈5

  • 등록일2017-05-16
  • 조회수5013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7-05-15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웨어러블 헬스케어#헬스케어용 화학공정소재#화학공정#헬스케어#웨어러블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이슈리포트 2017-4호-이슈5

 웨어러블 헬스케어용 화학공정소재 기술동향

 

저자    한정우 PD / KEIT 화학공정 PD실
고현협 부교수 / 울산과학기술원
박종화 / 울산과학기술원
이영오 / 울산과학기술원

 

 

SUMMARY


목적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술을 전반적으로 소개하고, 특히 관련 핵심요소기술 개발 현황을 화학공정소재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소개
국내·외 화학공정소재 기반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핵심요소기술 개발 동향 및 시장 현황을 제공하고 향후 기술 개발 추진 방향에 대한 고찰


주요현황
스마트 기기의 진화와 더불어 웨어러블 헬스케어 산업은 2015년부터 5년 동안 29.9%의 연평균성장률(CAGR)로 2020년에 18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착용형 기기를 통한 자가 건강 모니터링과 질병의 진단 및 예방을 가능하게 하여 향후 원격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급성장하고 있음.
현재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개발은 핵심요소기술인 플랙서블 센서 기반의 입력기술,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기술, 플랙서블 전원기술, 신축성 전극 및 패키징 기술이 포함된 신호처리 회로기술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을 통하여 활발히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시사점 및 정책제안
웨어러블 헬스케어 응용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기능성, 편의, 심미성, 유연성 확보가 필수적임으로, 기존 금속 및 무기 소재 기반의 딱딱한 스마트 기기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유연소재 및 관련 공정 개발이 필요함. 화학공정소재는 우수한 물성, 쉬운 가공성, 높은 유연성 등의 이점을 확보하고 있어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개발에 핵심적인 요소기술로 자리 잡고 있음. 최근 화학공정 소재 기반의 센서, 배터리, 전극 등의 요소기술 개발 동향 및 시장 현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기술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정책 수립이 필요함.

 

1. 웨어러블 헬스케어 개요


웨어러블 헬스케어 개요
웨어러블 헬스케어는 신체에 부착하거나 착용하여 컴퓨팅 행위를 할 수 있는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신체 건강 진단, 질병의 예방, 치료, 사후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종합적인 기술로
정의됨.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는 주요회로 및 소자를 초소형, 플렉서블 형태로 구현하여 편의, 패션, 기능성을 갖춘 디바이스 및 신체 일부에 부착하여 휴대성, 편의성을 극대화한 형태의 신체부착형 스마트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며, 관련 소재부품,
플랫폼 및 완제품 관련 서비스 등의 솔루션을 포함하는 산업임.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및 BT, IT 융합 기술의 확대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원격 의료 서비스를 통칭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분야는 예방과 관리 중심으로 전환된 의료 패러다임에 힘입어 세계적으로 개인 맞춤형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급부상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