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개체노화에 대한 새로운 치료전략 타겟, 세포노화와 노화연관 분비표현형(SASP)
- 등록일2017-06-29
- 조회수664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7-06-28
-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개체노화#세포노화#SASP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개체노화에 대한 새로운 치료전략 타겟, 세포노화와 노화연관 분비표현형(SASP)
강찬희 /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서 론]
개체노화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신체조직의 기능이 서서히 감소되는 현상으로 암, 퇴행성 질환, 대사증후군 등의 질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이러한 개체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세포노화이다. 세포노화는 텔로미어 단축뿐만 아니라 세포내 외의 다양한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나는 비가역적 세포주기의 정지로, 암세포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손상된 세포의 증식을 막음으로써 본질적인 암 억제기전으로 작용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여러 연구에 따르면 세포노화가 암 억제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도 깊게 관여하는 것이 보고되었는데, 이는 혈관형성, 면역반응, 조직재생, 배아발생, 염증반응, 그리고 개체노화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세포노화의 다양한 체내기능은 세포노화가 세포주기의 조절뿐만 아니라 주변 세포 또는 조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cell non-autonomous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이에 부합되게 최근 노화세포가 특이적인 염증 유발인자, 성장인자, 단백질 분해효소 등을 분비하고 있다는 것-노화연관 분비표현형-이 보고되었다. 노화세포는 나이가 들어감에 신체에 축적이 되거나 노화연관 질병이 일어나는 곳-퇴행성 신경질환(뇌), COPD(폐), liver fibrosis(간), intestinal bowel disease(장), cataracts(눈), 동맥경화(혈관), renal disease(신장), 대사증후군(지방세포 및 췌장), 골관절염(관절), 암(여러조직)-에서 발견이 되며, 위에서 언급한 세포주기의 정지와 SASP를 통해 질병의 발병과 진행에 기여할 수 있다.
본 특별기고에서는 세포노화의 두 축인 세포주기의 정지와 SASP에 대해 설명하고, 세포노화가 이 두 축을 통해 개체노화를 촉진하는 기전에 대해 살펴보며, 마지막으로 현재 세포노화를 타겟으로 하고 있는 치료방법과 한계 그리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