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FLUPHAGY, 바이러스 성 병원균에 의한 거식증의 조절

  • 등록일2017-10-26
  • 조회수5014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7-10-06
  • 출처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첨부파일

출처 :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FLUPHAGY, 바이러스 성 병원균에 의한 거식증의 조절

 

 

□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인해 매년 약 300,000 명의 사람들이 사망하며, 다른 동물 종의 바이러스 및 그 돌연변이 표류로 재조합 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새로운 예방 접종 전략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

 

  ㅇ 자가포식현상은 다른 바이러스에서 파생 된 항원의 전달 및 처리에 관여하며, 인플루엔자 및 기타 바이러스는 종종 면역 인식을 피하기 위한 이 중요한 메커니즘을 요함,

 

  ㅇ 이를 위해 면역 형광 현미경 검사와 함께 RNA 간섭 검사가 적용될 수 있음.

 

  ㅇ 바이러스 성 단백질과 autophagy 기계 장치 사이의 관계를 더 밝히기 위해 인플루엔자 A의 매트릭스 단백질 2 (M2)가 조사 할 것이며, 이는 autophagosome / lysosome fusion 블록을 일으키고 바이러스 항원과 관계가 깊음.

 

  ㅇ 본 연구는 M2와 상호 작용하는 세포 플레이어와 규제 메커니즘을 밝힐 것이며, 또한, A 형 인플루엔자 감염 후 항원 제시에 있어서 자가포식현상 작용의 역할은 생쥐를 통한 실험을 통해 이루어질 것.

 

  ㅇ 모든 연구 결과 (정상 상태 및 바이러스 감염에서의 항원 전달의 분자 메커니즘, M2에 의한 숙주 기계의 조작, 바이러스 성 면역원성에서의 자동 영양의 역할)를 통합함 으로써, 건강 및 질병관련 식균 융합의 조절에 대한 광범위한 개관을 얻을 것.

 

  ㅇ 이것은 인플루엔자 감염을 타깃으로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는 분야에서 큰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며, 자가포식현상 또한 신경 퇴행성 질환과 같은 다른 많은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반드시 감염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
 


□ 프로젝트 개요

 

 ㅇ 프로젝트명: FLUPHAGY, 바이러스 성 병원균에 의한 거식증의 조절
   - 영문명: FLUPHAGY, Regulation of Macroautophagy by viral Pathogens


 ㅇ 프로젝트 주관 기관: UNIVERSITAT ZURICH


 ㅇ 프로젝트 담당자:  Christian Munz
   - 전화번호: +41 446353716


 ㅇ 프로젝트 진행 기간: 2014-03-01 to 2017-02-28


 ㅇ 프로젝트 EU 지원 금액 규모: 199 317,60 유로
   - 프로젝트 총 비용: 199 317,60 유로 


 ㅇ 참여 국가: 스위스

 

 

□ 인플루엔자는 면역 회피를 위해 자가 소화작용 동물을 표적으로 함.

 

  ㅇ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은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원인이며, 바이러스 성 항원 이동으로 인해 계절성 전염병이 발생함.

 

  ㅇ 현재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만 현재의 개발된 방법은 불완전한 보호로, 보다효과적인 전략이 필요.

 

  ㅇ 진핵 세포는 프로테아좀 (proteasome)과 자가소화작용 (autophagy)를 통해 세포 내 물질을 분해하며, 자가 소화작용은 double-membrane vesicles에서 단백질 및 전체 organelles와 같은 사이토졸 물질의 삼투 현상을 수반하여, 결국 lysosome과 융합.

 

  ㅇ 이는 기아 상태의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하는 한편 또한 면역에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짐.

 

  ㅇ 본 프로젝트는 병원체 감지, inflammasome 활성화 및 패턴 인식 수용체 (PRR) 신호 조절과 관련하여 자가 소화작용을 (autoophagy)를 연구하였으며, 또한, 자가 소화작용을 하는 T 세포에 항원 제시를 위한 수단을 발견, 병원균 autophagy 중재 메커니즘을 대상으로 진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힘.

 

  ㅇ 또한 거대 자가 포식 (macroautophagy)은 정상 상태 및 인플루엔자 감염에서 memory B, memory T, effector T 및 Treg 세포 생존에 필요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서의 자가 포식의 역할은 세포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나타냄.

 

 

□ 유럽연합이 자금을 지원하는 FLUPHAGY (바이러스 성 병원균에 의한 거대 동물 동식물의 규제) 프로젝트의 과학자들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어떻게 자동 번식을 하는 메커니즘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항원 전달 및 처리를 방해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함.

 

  ㅇ 파트너의 이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 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의자가 영양 결핍은 MHC 클래스의 세포 표면 수준 증가로 인해 항원 제시가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자가 구균과 리소자임의 융합을 체외에서 체포 할 수 있었으나 이에 대한 기본 메커니즘은 알려진바가 거의 없었음.

 

  ㅇ 연구팀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거시 자동 기계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면 감염을 타깃으로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 있고, 또한 이 연구 결과는 노인 또는 면역 저하 환자와 같이 심각한 증상을 앓고있는 환자를 돕기 위해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 
 
  

○ 관련 URL : cordis.europa.eu/project/rcn/187734_en.html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