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자연살해세포 활성기전 관련 최근 연구동향
- 등록일2017-11-20
- 조회수624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7-11-13
-
출처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자연살해세포 #활성기전 #최근 연구동향
- 첨부파일
출처 :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자연살해세포 활성기전 관련 최근 연구동향
1. 개요
자연살해세포(NK cell)는 선천림프구세포 중의 하나로 암세포에 대해 선택적인 살해능력을 보이는 세포로써 그 존재가 알려졌다. NK cell은 다른 항암면역세포와 달리 추가적인 활성화과정 없이 암세포를 감지한 후 바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성은 NK cell 표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면역수용체(Immune receptor)를 통해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분할 수 있음에 기인한다 (Lanier, 2005; Long et al., 2013). 많은 암환자의 경우 NK cell의 수나 항암활성에 결함이 발견되고 있으며 NK cell의 기능 이상은 이러한 암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따라서 NK cell의 활성은 생체 내 항암면역력의 지표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를 측정함으로써 암의 진단, 예후예측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강력한 항암활성의 NK cell을 체외에서 대량 증식한 후 암환자에 투여하여 암을 치료하려는 다양한 임상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정 암들에 대해 유망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Rezvani et al., 2015; Chouaib et al., 2014). NK cell은 특히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측면에서 다른 면역세포들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는데 이는 NK cell이 암세포의 증식, 전이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암의 재발에 중요한 암 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에 기인한다 (Castriconi et al., 2009). 더불어 NK cell은 수지상세포 (DCs), 대식세포(macrophage), T cell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생체 내 면역반응, 염증반응 조절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함이 규명되었다 (Vivier et al., 2008). 따라서 암과 바이러스 질환 뿐 아니라 염증질환, 자가면역 질환 및 천식 등 각종 난치성질환의 발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이 규명되고 있다. 그러나 NK cell의 다양한 인체 질환에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활성화 기전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이를 새로운 치료제로 개발하는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NK cell 활성화의 가장 큰 특징은 특정 항원 수용체에 의존적인 T cell, B cell과 달리 세포표면의 다양한 활성화 및 억제 수용체의 특정 조합을 통해 통합적으로 활성이 조절된다는 것이다. 특히 아직까지 NK cell 활성화 수용체의 다양성 및 활성화 신호의 복잡성으로 인해 NK cell 활성화 수용체를 통한 활성화 기전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NK cell 활성화 수용체의 특징 및 이를 통한 신호전달을 중심으로 최근의 NK cell 활성화 기전관련 연구결과를 고찰해 보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Kwon et al., 201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