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첨단기술정보분석 니즈정보]바이오산업에서 나노기반 Drug Delivery System 공동관심기술 보고서1
- 등록일2017-12-28
- 조회수5730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17-11-14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미세유체기술#약품전달체계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첨단기술정보분석 니즈정보]
바이오산업에서 나노기반 Drug Delivery System 공동관심기술 보고서1
미세유체기술을 이용한 약품전달체계의 최신 연구 현황
신영오
미세유동체 플랫폼들은 입자 기반 DDS 조립의 혁신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을 광범위하게 채택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요구들, 즉 규모성(scalability)과 다양성(versatility)을 고려해야 한다. 약품 운반체의 합성을 위한 미세유체기술 플랫폼을 산업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있어서는 높은 효율성과 재생산성 생산체계를 요구한다. 고효율 입자 합성과 “on chip”분류의 통합이 미세유도체공학 플랫폼의 가장 큰 가능성의 하나로 보여진다. 유리 캐피럴리 디바이스에서 DDS의 유체공학 합성의 진화는 복수의 유제와 나노입자로부터 만들어지는 체계를 향하고 있다. 유리 캐피러리 미세유체기술로 준비되는 복수 유제 분야는 아직도 유아 단계에 있으며 복합 DDS의 합성을 위하여 이 기술을 적용하기 전에 더 많은 개발과 개념에 대한 증거가 필요하다. 나노입자 라이브러리를 재생가능한 방식으로 생산하고 평가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은 첨단 소분자 발견에서 의약 화학의 작은 분자를 고효율로 스크린 했던 것과 유사하게 나노입자 발견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
이 분야 연구의 미래는 상이한 단계의 나노입자 개발을 단일 체계로 이행할 수 있는 미세유체 체계를 개발하고 개발의 시간과 경비를 유의하게 절감하기 위하여 미세유체기술, 로봇학 및 자동화를 결합하여 주어진 조절을 제시하는 데에 있을 것이다. 또한 다수의 상이한 나노입자 성상을 단일 체계에서 특성화할 수 있는 체계가 학계 및 산업계 연구 실험실에서 선택적 나노입자 형성을 판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미세유체기술은 약품 개발에서 마이크로 및 나노크기 DDS의 생산을 위한 고도로 재생가능하고 혁신적이며 놀라운 기술을 나타내고 있다. 이 기술은 약 개발에서 균질성 크기 분포와 조정 가능한 성상, 다수 치료제의 동시 적재, 그리고 표적 부분(moieties)의 기능화, 혁신적인 바이오 의학 이용 가능성 등이 특성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