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독성-환경 후생유전체학(Toxico-Environmental Epigenomics)의 최신 연구 동향
- 등록일2018-03-07
- 조회수605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8-02-27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후생유전체학#독성-환경#연구 동향
- 첨부파일
출처: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독성-환경 후생유전체학(Toxico-Environmental Epigenomics)의 최신 연구 동향
[요약문]
인간의 세포와 유전체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지나치게 강한 환경의 영향의 받으면 때로는 유전체의 변이가 일어나기도 한다(Genetic mutation). 대부분의 경우는 DNA와 히스톤(Histone) 단백질에 붙어있는 메틸기(-methyl), 아세틸기(-acetyl) 등이 세밀하게 변화하면서 환경에 반응한다. 때로는 그 변화가 다음 세대로까지 전달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매커니즘을 연구하는 분야가 후생유전체학(Epigenomics)이다. 최근, NIEHS(미국 국립 환경 보건 연구소) 주최 아래 6개의 팀으로 이루어진 연구진들이 모여서 독성-환경 유전체학에 대한 컨소시엄을 이루어 활발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현재는 실험 쥐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독성이 어떻게 후생유전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있으며, 이러한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더 나아가 인간의 후생유전체에 미치는 복합적인 독성 및 환경적 요인들을 유추해 보려는 시도이다.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실험 설계와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첫 번째는 임신 중에 해로운 물질에 노출되는 것이 배아 혹은 태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청소년기에 해로운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의 후생유전체의 반응을 살펴보는 실험이다. 기존에 알려진 여러 가지 독성과 더불어 존스홉킨스 연구팀은 그 위험성이 많이 알려진 미세먼지(PM2.5)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연구 중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여러 가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임신 중 혹은 청소년기 질환을 미리 발견하고 적합한 바이오 마커를 찾아내는 것이 주요 목표라고 하겠다. 이번 연구동향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NIEHS 타겟(TaRGET) 프로젝트와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목 차]
1. 서론
2. 본론
2.1 미세먼지와 환경 유전체학
2.2 독성-환경 유전체학 소개
2.3 후생 유전체학의 도구들
2.4 타겟(TaRGET) 컨소시엄과 방향
2.5 전사체와 후생유전체의 복합 연구
3. 결론과 맺는 말
4. 참고문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