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초파리의 생체리듬과 수면
- 등록일2018-06-18
- 조회수6147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8-05-30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생체리듬
- 첨부파일
초파리의 생체리듬과 수면
최 준 호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2017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초파리에서 일주기리듬의 분자기작을 밝힌 공로로 미국 브랜다이스대학교의 마이클 로스바쉬 (Michael Rosbash), 메인대학교의 제프리 홀(Jeffrey Hall), 록펠러 대학교의 마이클 영(Michael Young)이 수상하였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낮과 밤을 생겼고,지구상의 생물체는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24시간 주기를 인지하는 생체 내 시계를 생물체 내부에 가지게 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생체 내 시계는 생물체 로 하여금 외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여 개체의 행동과 생리현상을 24시간 주기에 맞추어 활동하도록 하였다.
생명체에서 하루,조수,주간,계절,그리고 일 년과 같이 시간에 따른 리듬을 연구하는 학문을 시간생물학(chronobiology)이라 한다. 생체 리듬은 체내에서 발생하지만 일주기 생체 리듬은 빛,먹이활동, 기온과 같은 외부의 요인에 의해 환경에 알맞게 동기화하는데 이 를 자이트게버(zeitgeber, 독일어로 ‘시간 기여자’)라 한다. 자이 트게버 중에서도 빛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