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만성완전폐색병변 치료용 마이크로의료로봇 시스템 개발

  • 등록일2018-07-24
  • 조회수5094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8-07-20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만성완전폐색병변
  • 첨부파일

 

 KEIT PD 이슈리포트 2018-7월호 :

포커싱이슈(만성완전폐색병변 치료용 마이크로의료로봇 시스템 개발)

 

 

기획의도


연령별 협심증, 심근경색증 환자 수는 60~70대가 가장 많고, 노인 인구 증가로 최근 5년간 협심증 및 심근경색환자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 201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심혈관질환 사망자수는 2만 8,326명으로 전체 사망자 수의 10.3%를 차지하며, 국내 사망원인 2위를 기록했음. 이는 단일 질환 사망원인으로는 1위이며, 교통사고 사망률보다 5배나 높음.

 

 

만성완전폐색병변이란 적어도 3개월 이상 혈관이 완전히 막혀있는 경우이며,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20% 이상에서 만성완전폐색병변이 관찰됨. 만성완전폐색병변은 현관이 완전히 막혀 있더라도 조직인 느슨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도철선(guidewire) 시술을 통해 혈관을 재개통 할 수 있다는 것이 정설이 되면서, 2000년도 초반부터는 적극적으로 시술이 이루어졌음.

 

 

만성완전폐색병변 시술을 위해 사용되는 수술 내비게이션은 진단을 위해 사용하던 의료영상 정보를 수술을 위한 가이드로 활용하는 기법으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혈관을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하여 시술자가 치료 부위에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함. 수술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국외 시장 규모는 2017년 64,973억 원에서 2021년 91,153억 원으로 연간 8.8%의 성장(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이 예상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