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세포 사멸과 면역 반응의 관계
- 등록일2018-08-28
- 조회수8029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8-08-28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선천성 면역#대식세포#수지상세포
- 첨부파일
세포 사멸과 면역 반응의 관계
저자 : 임기홍 (로체스터 대학)
요약문
다세포 생물은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를 의도적으로 죽게 함으로써 병원체의 증식과 확산을 방지한다. 고등동물은 병원체와의 경쟁을 통해서 다양한 세포 사멸 양식을 고안해내었는데 각각의 세포 사멸은 서로 보완적이며 면역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 또한 다세포 생물은 사멸된 세포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제거함으로써 부적절한 염증과 면역 반응이 유도되지 않도록 한다. 세포 사멸과 사멸 세포 처리에 관련된 유전자의 결함은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암의 발생과 진행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Apoptosis와 면역
2.2 Necroptosis와 면역
2.3 Pyroptosis와 면역
2.4 Apoptosis, Necroptosis, Pyroptosis, Innate signaling의 Crosstalk
2.5 Efferocytosis와 면역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세포의 죽음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분류하는데, 메커니즘의 측면에서 의도된 죽음인지 (Programmed death; Apoptosis, Necroptosis, Pyroptosis) 아닌지로(Accidental necrosis), 또한 죽음의 형태학적 양상에 따라 세포 용혈(lysis)이 수반되는지(Necrosis, Necroptosis, Pyroptosis) 아닌지로(Apoptosis) 나뉠 수 있다 (그림 1). 의도된 세포의 사멸(Programmed cell death)은 다세포 생물의 개체발생과 조직(tissue)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위해 필수적이며 동시에 병원체 감염에 대한 매우 중요한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 방어 전략이기도 하다. Apoptosis는 하등한 다세포 생물에서부터 고등생물에 걸쳐 넓게 관찰되며 척추동물은 이에 더하여 더욱 다양한 죽음의 메커니즘을 보유하고 있는데 오랜 기간 진화를 거치며 병원체와의 전쟁에서 획득한 형질이다. 세포 사멸은 주위 조직에 다양한 면역적 영향력을 행사하는데, 본 동향리포트에서는 상이한 세포 사멸이 어떻게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지 그리고 이들 세포 사멸과 선천성 면역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세포 사멸에 수반되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사멸 세포의 제거(Efferocytosis)는 주로 전문적인 포식세포(Professional phagocyte)가 담당하는데 병원체 포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면역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그리고 세포 사멸과 사멸 세포 포식이 질병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논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