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만성 통증 신경회로의 Top-down 조절기작
- 등록일2018-12-13
- 조회수5444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8-12-03
-
출처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만성 통증 신경회로#신경회로
- 첨부파일
만성 통증 신경회로의 Top-down 조절기작
서론
통증(pain)은 우리 몸에 해를 주거나 줄 것 같은 자극에 대응해서 감각과 감정이 결부되어 나타나는 반응이다. 통증을 통증으로 인지하게 될 때 적당한 신경회로의 활성화와 행동반응이 일어나서 자극에 대응하게 된다. 통증 자극은 외부 환경과 인접하는 부위에 존재하는 통증을 담당하는 감각세포가 외부에서 오는 통증 자극에 반응을 하고 그 반응을 척수를 통해 뇌로 전달함으로써 느껴진다. 이런 단순해 보이는 신경 회로는 통증 자극의 종류뿐만 아니라, 감정과 의식 상태에 따라 그 반응이 달라진다(마사지를 받을 때를 생각해 보자. 통증 자극이 오히려 기분 좋게 여겨졌던 것을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통증을 느낀다는 것은 물론 좋은 경험은 아니지만 몸에 직접 해를 가하는 것은 아니다. 몸을 보호하기 위한 통증반응이 만성 통증의 경우에는 통증 회로에 이상이 생기고, 가벼운 자극에도 아주 극심한 통증을 경험하게 되는 이질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이런 이질통증은 몸을 보호하기보다는 몸과 정신을 해롭게 하기 때문에 그 치료법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만성통증 반응 기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되어 있지 않아서 그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최근에 만성통증 반응 기작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그 치료법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통증 신경회로와 최근에 보고된 뇌에 의한 직접적 만성통증 신경회로 조절기작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 정책동향 [R&D Brief] 생리현상과 본능적 행동의 신경회로 2022-11-17
- 기술동향 젊은 과학자의 눈으로 바라보다, 과학기술 2050 2021-12-27
- 기술동향 우리 뇌는 소금 섭취를 어떻게 조절하는가? [KSMCB 2020년 6월호] 2020-06-23
- 기술동향 감정 기억의 저장과 회상을 관장하는 편도체(Amygdala)의 신경회로에서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 기억 심상(Engram)과 신경망 진동(Network oscillation)의 중요성 2018-11-12
- 산업동향 두뇌 신경회로모방 뉴로모픽 칩 2018-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