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식중독균 특성분석 보고서

  • 등록일2019-04-22
  • 조회수651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9-04-11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식중독균#리스테리아#살모넬라
  • 첨부파일

 

 식중독균 특성분석 보고서

 

 

1부 리스테리아

 

[목차]

 

Ⅰ 개요

Ⅱ 분석결과

1. 리스테리아균주 현황

2. 유전자 특성

3. 혈청형 현황

4. 유전적 상동성 분석(PFGE)

5. MLST 분석

6. 사례 분석

Ⅲ 참고문헌

Ⅳ 참고자료

 

[내용]

 

Ⅰ 개요

 

1. 분석 목적


□ 식약처 식중독균 자원센터에서 보유, 관리하고 있는 리스테리아 균주의 특성 분석

- 식중독 균주의 다양한 특성*을 확보, 시스템에 DB화하여 식중독 추적관리 시 비교, 분석에 사용

* 리스테리아 균주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유전자(병원성 및 균주의 특이성 관련 유전자), 혈청형, 균주간 유전적 상동성(PFGE, MLST)

- 균주의 분리 양상 및 특성*을 확인하고 발생 트렌드(사례)를 파악하여 식중독 안전관리에 활용

 

2. 분리 현황 및 대상 균주


□ 2011년부터 2018년(10월)까지 국내 식품 및 환경에서 리스테리아 분리

-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및 6개 지방청)와 16개 시, 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균주 분리

->평가원 미생물과(식중독균 자원센터)에서 취합, 관리 및 특성 분석

 

□ 대상균주: 식약처 식중독균 자원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리스테리아 91주

① 식중독 추적관리사업 분리 균주(67주)
- 식중독 사고 관련 : 리스테리아 식중독 발생과 관련하여 분리한 균주
- 모니터링 :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분리한 균주
② 기준 ? 규격 부적합(20주) : 지방청 수입검사 부적합 등 기준 ? 규격 검사에서 분리한 균주

③ 자체 모니터링(4주) : 연구사업’ 모니터링에서 분리한 균주
* 국내 식품분리 식중독균 특성분석 연구(18161식품위033, 2018년,미생물과)

 

2부 살모넬라

 

[목차]

 

Ⅰ 개요

Ⅱ 분석결과

1. 살모넬라균주 현황

2. 유전자 특성

3. 혈청형 현황

4. 유전적 상동성 분석(PFGE)

5. MLST 분석

6. 사례 분석

Ⅲ 참고문헌

Ⅳ 참고자료

 

[내용]

 

Ⅰ 개요

 

1. 분석 목적

 

□ 식약처 식중독균 자원센터에서 보유 ? 관리하고 있는 살모넬라 균주의 특성 분석

- 식중독 균주의 다양한 특성*을 확보,시스템에 DB하하여 식중독 추적관리 시 비교 ? 분석에 사용 * 살모넬라 균주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유전자(병원성 및 균주 특이성 관련 유전자),혈청형,균주간 유전적 상동성(PFGE,MLST)
- 균주의 분리 양상 및 특성을 확인하고 발생 트렌드(사례)를 파악하여 식중독 안전관리에 활용

 

2. 분리 현황 및 대상균주

 

□ 2012년부터 2018년(10월)까지 국내 식품,임상 및 환경에서 살모넬라 분리
-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및 6개 지방청)와 16개 시 ?도 보건 환경연구원에서 균주 분리
-  평가원 미생물과(식중독균 자원센터)에서 취합 ? 관리 및 특성 분석

 

□ 대상균주: 식약처 식중독균 자원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살모넬라 359주
① 식중독 추적관리사업 분리 균주(275주)
- 식중독 사고 관련 :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과 관련하여 분리한 균주
- 모니터링 :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분리한 균주
② 기준 ? 규격 부적합(58주) : 지방청 수입검사 부적합 등 기준 ? 규격 검사에서 분리한 균주

③ 자체 모니터링(26주) : 연구사업 모니터링에서 분리한 균주
* 국내 식품분리 식중독균 특성분석 연구(18161식품위033, 2018년,미생물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