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항암 면역치료의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암의 특징
- 등록일2019-08-14
- 조회수637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9-08-06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면역치료#항암#암
- 첨부파일
항암 면역치료의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암의 특징
정의경 JW홀딩스(주)
[요약문]
항암 면역치료는 면역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T 등이 임상적으로 큰 효능을 보이며, 항암치료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현 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면역치료제는 암환자의 일부에서만 치료효과를 보이며 한계점을 나타내 고 있다. 또한 치료비가 비싸고 상당한 독성을 보이며 면역치료제에 대한 예측 바이오마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암세포에서 면역원성이 있는 신항원(neoantigen)의 생성과 항암 면역 반응의 손상을 유발하는 돌연변이의 발생은 면역치료에 대한 감수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종양으로 침투한 면역세포의 종류, 수, 침투 정도 및 활성화 정도는 항암 면역반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요소들은 장내 미생물의 구성을 포함한 전신 요인 및 혈관, 기질과 함 께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을 이루는 특징이 된다. 본 리뷰에서는 임상 의사 결정을 위한 전망과 한계점을 분석할 때 필요한, 항암 면역치료의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암의 특징을 정의하고자 한다.
Key Words: anticancer immunotherapy, immune checkpoint inhibitor, CAR-T, neoantigen, tumor micro- environment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악성종양세포의 특징
2.1.1 면역원성
2.1.2 면역억제
2.1.3 감수성
2.2 종양 침투 면역세포의 특징
2.2.1 구성
2.2.2 국소화
2.2.3 기능
2.3 종양 기질 및 혈관의 특징 2.4 전신 인자의 특징
3. 결론
4. 참고문헌
[내용]
1. 서론
지난 10년 동안 여러 면역치료제가 승인되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승인된 면 역치료제로는 다양한 면역관문 인자 [cytotoxic T lymphocyte?associated protein 4 (CTLA4), pro- grammed cell death 1 (PD-1), 또는 그 리간드인 PD-L1]를 타깃하는 면역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와 CD19를 타깃하는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T 세포 치료제가 있다. ICI는 흑색종, 비소세포성 폐암(NSCLC), 요로상피세포암, 호지킨 림프종과 같은 다양한 암종에 서 지속적인 항암효과를 유도하였다. CD19 CAR-T 또한 치료적 대안이 없던 불응성/재발성 B세 포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과 불응성/재발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DLBCL)에서 높은 반응률을 보 였다 [8]. 그 외 면역촉진 단클론항체(mAb), 암의 면역억제 작용을 저해하는 항암제, 암항원을 타깃 하는 백신 등 다양한 항암 면역치료제가 현재 임상에서 연구되고 있다 . 그중 상당수는 상위 임상 단계에 있으며, 향후 시판허가를 받는 면역치료제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ICI는 고형암에서 우수하고 지속적인 임상 효능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으나, 효능을 나타내는 환자는 ~20%에 불과하다 . 또한 경우에 따라, 치료를 중단하거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중등 도-중증(moderate to severe) 면역독성을 유발한다 . 뿐만 아니라, ICI [Keytruda (pembrolizumab), Opdivo (nivolumab)]는 환자 1인당 한 달 투여 가격이 300만~400만 원대로 1년이면 약 5,000만 원 에 달하는 치료비가 발생한다. CD19 CAR-T의 경우, 혈액암에서 ~80%의 완전관해율을 보이는 획기적 인 결과를 보였으나 심각한 신경독성 및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ytokine release syndrome, CRS)과 같 은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이상반응을 유발하였다. 또한 CD19 CAR-T는 미국 기준으로 1회 투여 시 약 5억원의 치료비가 발생한다. 그 외에 임상 개발 단계의 항암 면역치료제에서도 부작용과 비용은 극복되어야 할 부분으로 남아있다. 부작용을 줄이거나 반응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병용요 법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면역치료제의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리뷰를 통해, 임상 의사 결정을 위한 전망과 한계점을 분석할 때 필요한 항 암 면역치료의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암의 특징을 살펴보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9th ECCMID (European Congress of Clinical Microbiology & Infectious Diseases) 2019 참석 후기
-
다음글
- 신약개발에서 중개의학의 영향력 극대화 방안
지식
동향
발간물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6화 “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 편 2019-07-2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5화 “광의학 치료기술” 편 2019-07-09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2화 “조직별 면역세포의 세포체 지도” 편 2019-05-16
- 정책/기획보고서 효율적 암 연구개발을 위한 국립암센터기관고유연구사업 성과분석 및 평가 2013-02-22
- 정책/기획보고서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기획연구 201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