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영국의 의료서비스 디지털화 추진 현황
- 등록일2019-09-11
- 조회수5632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9-08-09
-
출처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영국#의료서비스#디지털화
- 첨부파일
영국의 의료 서비스 디지털화 추진 현황
지난 10년간 영국은 의료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특히 스코틀랜드, 웨일즈 및 북아일랜드의 경우 범국가적으로 보다 통합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했다. 잉글랜드의 경우 반대로 2011년 국가 보건 의료 정보화 사업(NPfIT)의 폐지로 지역 단위로 분산된 디지털화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영국 의료기술 디지털화 추진 현황
영국 전역 1,500여 명의 의료진 및 의료 관계자 대상으로 딜로이트 (Deloitte)가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영국이 추진하고 있는 야심 찬 디지털화 정책과 실제 동 정책의 현실적인 구현 형태와는 상당한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영국 의료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추진하기 위한 자금 확보, 전문 인력 고용 및 리더쉽 구축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지역별 및 기관별 격차도 큰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 차원의 신속한 투자 없이는 애초 목표로 한 2024년까지 완전 한 디지털화 구축을 이루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영국에서의 의료 서비스 디지털화는 느리고, 비싸며 비효율적으로 진행된다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실제로 인공지능, VR 및 로보틱스와 같은 최신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사례는 10% 미만으로 낮으며 이러한 기술의 효율성 및 유효성에 대한 불확실성도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 조사 응답자는 디지털화에 가장 방해되는 다섯 가지 요소로 기술 비 용(55%), 적합한 디지털 기술 파악(11%), 기술의 복잡성(10%), 관료주의(8%), 디지털 교육 및 훈련의 부재(6%)를 꼽았다.
또한, 디지털 헬스 분야 고위직 관계자들 역시 완전한 디지털 헬스 시스템 구축에 최소 10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측하며, 이를 위한 3 가지 핵심 요소로 펀딩(funding), 리더쉽(leadership) 그리고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지목했다.
의료 서비스의 디지털화 촉진을 위한 5가지 전략
(1) 강력한 IT 인프라 구현
안정적인 네트워크 연결 및 충분한 데이터 저장 공간 확보를 위해 강력 한 IT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항은 아래와 같다.
- 무료로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 구축
- 상호 연결성 향상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IT 인프라 구축
- 보다 용이한 데이터 통합 및 저장을 위해 환자 데이터를 클 라우드에 저장, 이를 통해 의료기관 측은 원격으로 실시간 데이터 사용 / 접속 가능
(2) 전자의무기록 등 기본적인 통합 디 털 시스템 구축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구축은 헬스 케어 서비스의 효율성 및 유효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나,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 기관 사이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전자의무기록 플랫폼이 제각각이며, 따라서 내외부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사용할 때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전자의무기록 , 전자 처방전 및 전자진단 시스템, 환자 / 의료진 / 의료기기의 전자기록 관리 등을 모두 포함한 통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의료서비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완전한 디지털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3) 상호운용성 향상
의료부문의 상호운용성은 매우 복잡하며, 따라서 서로 다른 여러 IT 시스템 간 연결성 및 데이터 보완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시 된다. 데이터 표준 체계를 확립하고, 영국 전역으로 API( Application programme interface)를 개방함으로써 다른 어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간 데이터 공유 및 접근이 가능해져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향상 시키면서도 데이터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4) 디지털화를 위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수립
의료기관은 데이터 및 기술에 적용되는 모든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특히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2018년 5월부터 유럽 연합 일반개인정보보호법 (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이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제3자에 의한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됨에 따라 의료 데이터 보안 기능 또한 크게 강화되었다.
그 외에도 NHS 잉글랜드와 NHS 디지털은 ‘ 데이터 기반 헬스 케어 규범 ’ 제정 등 디지털화를 위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수립에 많은 노력을 가하고 있다.
(5) 디지털 리더쉽 강화 및 의료진/환자의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역량 육성
의료서비스의 성공적인 디지털화를 위해 디지털 기술에 대한 확고한 비젼을 가진 리더의 역량이 뒷받침 되어야하며, 의료진 및 환자들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추진해야 한다. 이에 영국은 디지털 교육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을 도입, 추진 중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8년 GM작물 재배현황 및 최근 동향
-
다음글
- 2019 IS-MPMI (International Society for Molecular Plant-Microbe Interactions) XⅧ Congress 참석 후기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