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국내외 항암제 개발 동향 및 시사점

  • 등록일2019-10-30
  • 조회수1103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19-10-01
  • 출처
    KDB미래전략연구소
  • 원문링크
  • 키워드
    #항암제#화학항암제#암세포
  • 첨부파일

 

국내외 항암제 개발 동향 및 시사점

 

 

< 목  차 >

 

Ⅰ. 개요
Ⅱ. 항암제 기술 동향
Ⅲ. 국내외 항암제 개발 동향
Ⅳ. 시사점

 

---------------------------------------------------------


< 요약문 >

 

암은 1940년대 최초로 치료제가 개발된 이후 현재까지 정복되지 않은 질병이 다. 일부 초기 암에 한해서 완치에 가까운 치료가 가능하지만 전이 정도, 재발 여부에 따라 치료가 불가능해 가장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최초의 화학항암제는 암세포와 일반세포 구분 없이 공격하는 탓에 부작용이 수반되었으나 치료 효과가 좋아 현재까지도 항암제 중 높은 비중을 점유하고 있 다. 이후 암세포 특이적인 표적항암제가 개발되어 다수의 암을 치료하였으나 여 전히 내성기전 및 부작용 등의 한계가 있었다. 2010년 이후 인간의 면역시스템 을 활용한 면역항암제가 개발되면서 새로운 치료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 항암제 신약 개발 기업들은 글로벌 기업과 일부 유사한 파이프라인을 보 유하고 있고 최근 각광받고 있는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 비중이 증가하면서 많은 투자를 받고 있으나, 대부분 탐색 또는 비임상 단계의 초기 수준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 국내 투자 동향은 임상 실패 리스크를 헷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없이 특정 기술 분야에 집중되거나 임상 승인에 대한 막연한 성공 기대감에 기반한 투 자를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항암제 개발 시장을 육성하고 국제 경쟁력을 확 보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항암제 동향을 파악하여 니치마켓을 공략하고, 회사의 실 적, 임상 파이프라인의 가치와 실패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건전한 투자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Ⅰ. 개요


❑ 국내 암 환자 발생률은 OECD 평균 대비 낮은 수준이나 암환자는 꾸준히 증가 하고 있으며, 다른 질병대비 사망 위험이 가장 높음 


○ 국가간 암환자 발생률은 연령표준화발생률1)로 비교하며 국내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남녀 각각 298명, 254명으로 OECD 평균 338명, 271명 보다 낮음 
○ 2016년에 새로 발생한 암환자는 22만9,180명으로, 전년도(21만6,542명)에 비해 1만2,638명(5.8%) 증가했으며, 위암, 대장암, 갑상선암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음 
○ 2016년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는 암이 153명으로 심장질환 58.2명, 뇌혈관 질환 45.8명 등 2,3위 질병보다 큰 차이로 1위를 차지

 

 

〈그림 1〉 암종별 발생자수
(단위 : 명)

1.PNG

자료 : 국가암등록통계(2018.12)

 


❑ 최근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암종별 및 전이 정도에 따라 큰 차이 


○ 건강검진 등을 통해 과거보다 조기에 암을 진단할 수 있으며, 많은 치료제와 치료 기술의 발달로 생존율이 증가   
- 2012-2016년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6%로, 3명 중 2명 이상은 5년 이상 생존 할 것으로 추정   
- 암검진은 1996년 직장피보험자 대상으로 최초 실시했으며, 암검진 수검률은 2013년 43.5%에서 2017년 50.4%로 지속 증가

 

 

〈그림 2〉 국내 기간별·성별 암환자 5년 생존율

2.PNG

자료 : 국가암등록통계(2018.12) 

 


○ 암이 초기에 발견될 경우 대부분의 암환자가 높은 생존율을 보이나, 주변 조직 또는 원격2)으로 전이될 경우 생존율이 현저히 낮아져 새로운 항암제 필요   
- 평균적으로 특정 조직에만 암이 발견되는 환자는 50% 미만이며, 주변 및 원격 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더 많음   
- 조직 주변으로 암이 전이되어도 5년 생존율이 90% 이상인 갑상선, 유방암, 전립선 암의 경우에도 원격으로 전이될 경우 5년 생존율이 50% 이하로 급락

 


〈그림 3〉 암종별, 전이에 따른 5년 생존율

캡처.PNG

자료 : 국가암등록통계(2018.12)

 

 

❑ 다양한 항암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시장 규모도 증가 추세 


○ 1940년대 화학항암제가 최초 개발된 이후 2000년대 표적항암제, 2010년 이후 면역항암제가 개발되는 등 기술발전에 따라 항암제 형태도 변화 중   
- 현재 185개의 항암제가 판매 중이며, 최근 5년 이내 89개의 항암제가 승인 

 

○ 항암제 시장은 암환자의 증가와 높은 신약 가격으로 인해 2014년 1,040억달러 에서 2018년 1,490억달러로 연평균 9.4% 성장   
- 복제약이 없는 신약은 약가가 비싼 편이며, 특히 블록버스터 항암제3)는 저분자 (small molecule)4) 의약품보다 가격이 비싼 바이오의약품5)이 대부분

 


〈표 1〉 전세계 항암제 시장
(단위 : 십억달러)

3.PNG

자료 : IQVIA(2019), “Global Oncology Trends 2019”

 


Ⅱ. 항암제 기술 동향


1. 화학항암제

 

❑ 1세대 항암제인 화학항암제는 모든 세포를 공격하며, 개발된지 수십년 됐으나 사용 용도가 다양해 여전히 사용 비중이 높음 


○ 화학항암제는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방해해 항암효과를 보이지만 일반 세포의 성장과 분열도 방해   
- 암세포는 일반세포 보다 성장과 분열이 빠른 특성이 있어 부작용 보다 치료 효과가 높음 

 

○ 1940년대부터 개발된 오래된 의약품임에도 불구하고 원발암에 대한 1차 치료 목적 이외에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전체 항암제 중 높은 비중을 차지   
- 외과적 수술 전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수술 후 미세 전이를 억제, 말기암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의 경감을 위해서도 사용

 


〈그림 4〉 항암제 시장 비중

4.PNG
자료 : Mckinsey&Company(2016), “The next wave of innovation in oncology” 참고하여 재구성

 


❑ 화학항암제는 메커니즘에 따라 4종류로 구분 


○ Alkylating Agent는 DNA의 염기(Guanine)에 결합해 DNA의 사슬을 절단하거나 DNA 합성을 막아 암세포의 분열을 방지 

 
○ Microtubule inhibitor는 세포 분열시 염색체를 이동, 고정하는 기능을 차단해 세포 분열을 억제 


○ Antimetbolite는 DNA 복제에 사용될 염기(A,T,C,G)의 합성을 억제하거나, DNA 복제도구(Polymerase)의 기능을 억제 


○ Topoisomerase inhibiotr는 DNA 복제나 전사과정에서 DNA의 꼬임에 관여하는 효소의 기능을 차단   
- DNA는 평소에 꼬여서 응축되어 있으며, 복제나 전사과정에 작용하는 효소들이 DNA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DNA가 풀려야 함

 


〈그림 5〉 DNA 구조, 복제기전 및 화학항암제(붉은색 표기)

5.PNG

자료 : www.pathwayz.org/Tree/Plain/DNA+REPLICATION+(LEADING+&+LAGGING)를 참고하여 재구성

 

 

❑ 수많은 제네릭6)과 독성 문제로 인해 새로운 치료 기술 요구 


○ 화학항암제 대부분은 특허권 및 독점권 기간이 만료되어 많은 제네릭이 존재   
- 특허권은 20년간 유지되나 무효, 취소가 가능하며, 특허 등록 이후 오랜 임상시 험으로 신약 출시 후 짧은 기간 내에 특허권이 종료   
- 독점권7)은 오랜 임상 기간으로 인해 발생하는 특허제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FDA 최초로 독점권에 대한 법률 제정8) 


○ 화학항암제 종류에 따라 다양한 내성 기전이 있으며, 일반세포까지 공격하는 비특이적(Non-Specific) 특성으로 많은 부작용 발생   
- 암세포는 세포 밖으로 약물을 유출(Drug efflux)하거나, 타깃 발현의 감소 또는 변성 등의 기전으로 항암제를 회피   
- 화학항암제는 일반세포와 암세포 구분 없이 작용하여 신장 독성, 신경병증 통증, 심장 손상 등 다양한 부작용을 발생시킴 


○ 화학항암제의 기술적인 한계를 인식하고 1971년 미국 국립암연구소(NCI)를 중심으로 암정복을 위한 연구를 시작해 암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고 2000년 대에 표적항암제를 개발하는 계기가 됨

 


〈표 2〉 독점권 기간

6.PNG
자료 : FDA, EMA, 박준석(2015), 이아름(2015)

 


〈참고 1〉 화학항암제 주요 제품

7.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