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Aquaculture Europe 2019 참석 후기

  • 등록일2019-11-13
  • 조회수4829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해양수산기술
  • 자료발간일
    2019-11-05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EAS#aquaculture#marine#fisheries#genomic research
  • 첨부파일

 

Aquaculture Europe 2019 참석 후기

 


< 목  차 > 
 
1. 학술대회 개요
2. 주요 일정 및 발표 내용
  2.1. 10월 07일
  2.2. 10월 08일 - 10월 10일
3. 포스터 세션
  3.1. LABORATORY AQUATIC MODELS AND ORNAMENTALS POSTERS 
  3.2. FISH WELFARE POSTERS
4. 총평

 

---------------------------------------------------------------------------

 

< 요약문 >

 

2019 유럽 양식학회는 독일, 베를린의 ESTREL congress center에서 10월 7일부터 10일까지 4일간 Our Future – Growing from WATER의 주제로 개최되었다. 총 85개국이 참여하였고, 2,700명 이상의 참여자로, 1,039개의 요약문이 발표되는 만큼 수산 해양분야에서는 규모가 큰 학회였다. 구두 발표는 매일 10 - 13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포스터 발표는 44 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학회 기간 동안 전시되었다. 또한, 올해부터 Eposter 발표가 신설되어 다양한 국가에서 참여가 용이하여 학술 교류가 점점 자유로워지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학회 구성에서도 학술발표 이 외 아쿠아포닉스 농장, 순환 여과 시스템 양식장의 투어, 학생 워크 샵, 양식관련 분야에서의 여성의 역할 등의 다양한 일정이 포함되어 있어 유익하였다. 학술 발표의 경우 많은 세션이 동시에 시작하는 관계로 주로 수산 해양 분야의 유전자원 관련 발 표 참석을 주로 하였으며 현재 유럽에서 수행하는 연구 방향과 규모, 생물 정보를 알 수 있 었다. 다양한 세션을 참석해본 결과 연구자들의 분포는 사료 영양, 양식 시스템, 환경에 관련 된 관심이 가장 높았다. 이번 학회 참관기는 본인이 주로 참석한 수산 해양생물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원 분야에 대해서 작성하였으며 이 외 몇몇 포스터 발표에서 인상 깊은 연구로 소 개하고자 한다.

 

1. 학술대회 개요 
 
1) 기간: 2019년 10월 07일 - 10일
2) 장소: 독일, 베를린, ESTREL congress center
3) 학회 프로그램 구성
  - 학회 기간 동안 매일 10 - 13개 주제별 구두 발표
  - 총 44개 주제별 포스터 발표(Abstract: 1039개, Eposters: 94개)
  - 참여 인원: 2700명 이상
  - 참여국: 85개국     (*참고 링크: https://www.aquaeas.eu/uncategorised/456-ae2019-programme)
 

 

1.PNG


< Aquaculture Europe 2019 포스터 >

 

 

2. 주요 일정 및 발표 내용
 
2019 유럽 양식학회는 다양한 주제를 기반으로 많은 세션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해양 환경, 기후, 사료 영양, 양식 시스템, 수산 생물 유전, 양식 산업의 발전 방향 등의 다양한 주제가 동일한 시간에 파트로 나누어져 있어 모든 주제의 강연, 발표에 참여가 불가능하였다. 이번 학회참관기에서 생명과학 분야인 수산 생물 유전과 관련된 발표에 대하여 소개를 하고자 한다.

 

 

2.PNG


< 유럽양식학회가 개최된 베를린 ESTREL 호텔(도 1), ESTREL 호텔 내 학회 개최 장소를 향하는 길(도 2)

학회 등록 및 문의를 위한 안내데스크(도 3), 학회 참석 연구자들 (도 4) >

 


2.1. 10월 07일
 
학회 일정 첫째 날은 학회 등록 및 회의 일정 외 양어 수경재배 시스템인 아쿠아포닉스 (aquaponics) 농장에서 틸라피아(tilapia)와 바질(basil)을 동시에 생산하는 농장과 pikeperch ( Sander lucioperca ) 순환 여과 양식(RAS;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시스템 양식장 투어 일정만 계획 되어 있었다. 사전 등록자에 한해 투어가 진행되었지만, 아쉽게도 본인은 투어 일정 예약을 하지 않 았다. 첫날 일찍 도착해서 그런지 꽤 한산하였으나, 이후 일정에는 참석자들이 매우 많았다.
 
2.2. 10월 08일 - 10월 10일
 
2.2.1. Unravelling the changes during induced sexual maturation of female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through rna-seq: what happens to the liver?

- Francesca Bertolini, Michelle Grace Pinto Jørgensen, Christiaan Henkel, Jonna Tomkiewicz

 

뱀장어는 juvenile stage를 지나 silvering eels가 되었을 때, 성숙 및 산란을 위해 심해로 migration 하는 특징을 지닌다. 성 성숙의 조절은 뇌-뇌하수체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Vitellogenin은 egg shell을 구성하는 단백질로 간에서 생성되는 주요 성 성숙 단백질 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암컷 뱀장어에서 vitellogenesis를 촉진하는 동안 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molecular level에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뱀장어를 12주 간 carp pituitary extract를 주사하여 성 성숙 유도를 하 였다. 난소, 뇌하수체, 간 조직을 샘플링한 다음 간 조직으로부터 RNA 분리 후 RNA-seq를 수행하였 다. 차등 발현 유전자 조사를 통하여 발현 상승, 감소 유전자들을 확보하였으며 그 외 다양한 유전 자들에 대하여 생물 정보학 기술을 기반으로 발현 조사를 실시하였다. RNA-seq 분석 결과, 그룹별로 평균 51M reads를 생성하였고, 뱀장어 genome assembly에 약 57%의 mapping rate를 나타내었다. 유전자 기능 분석으로 위해 gene ontology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발현 상승 유전자들은 molecules transport 관련 역할 유전자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그 외 에너지 및 신진대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이 주로 나타났고 vitellogenesis 관련 유전자도 발견되었다. 그에 반해 발현이 감소하는 유전자들은 스트레스 및 면역반응 관련 유전자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 성숙 유도 시 발현되는 유전 자들의 종류와 발현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2. Domestication-associated lipid metabolism regulation in Atlantic salmon

- Yang Jin, Rolf Erik Olsen, Thomas Nelson Harvey, Mari-Ann Østensen, Keshuai Li, Nina Santi, Olav Vadstein, Jon Olav Vik, Simen Rød Sandve, Yngvar Olsen
 
대서양 연어의 자연산과 양식산은 성장하는 과정 동안 섭취하는 먹이의 종류에 차이가 있다. 주요 차이점으로는 자연산의 경우 새우, 크릴 등의 먹이를 섭취하고, 양식산은 다양한 영양 성분이 함유된 배합사료를 주로 섭취한다는 것이다. 배합사료는 자연산 연어의 근육 색과 유사한 목적을 위 해 색소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다양한 지질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배합사료에 포함된 지질의 경우, 주로 어유(fish oil)를 흔히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신 식물성 오일 첨가 시, 나타나는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분자 수준의 분석 은 전사체 대용량 시퀀싱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식물성 오일의 경우, 어류의 발생과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LC-PUFA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다. 실험 그룹의 배합사료 내 LC-PUFA를 첨가하 여 자연산과 양식산 대서양 연어에 배합사료를 공급하고 그 결과를 조사하였다. 눈에 띄는 점은 식 물성 오일을 첨가한 배합사료를 먹인 그룹에서 양식산 대서양 연어의 LC-PUFA의 합성에 관여하는 fads2df, fads2d6a, srebp1d 효소의 발현이 자연산 대서양 연어보다 높게 나타난 점이다. 즉, 양식산 대서양 연어가 성장 발달에 필수요소인 LC-PUFA 합성 효율이 자연산보다 높다는 것이다. RNA-seq 분석 결과에서는 circadian pathway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전사조절인자들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특히 clock, bhlb2의 발현이 눈에 띄었다. 이 두 전사조절인자의 발현 또한 양식산 대서양 연어가 자연산 대서양 연어보다 높은 것으로 미루어 circadian clock pathway에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지 었다. 따라서 결과로 보자면 연어 양식에 있어, 분자 수준의 사료와 영양 연구에 있어 주요한 데이 터로 활용될 것이다.

 

2.2.3. The structural variation landscape in Atlantic salmon and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disease resistance

- Manu K. Gundappa, A.C. Bertolotti, R.M. Layer, M.D. Gallagher, C.M. Hollenbeck, T. Nome, S.R. Sandve, D. Robledo, R.D. Houston, I.A. Johnston, S. Lien, D.J. Macqueen
 
대서양 연어의 구조적 다양성 조사를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유전자 구조 변이 (structural variation; SV)는 동일한 종의 개체들 사이에서 유전자의 결실(deletion), 삽입(insertion), 중 복(duplication), 역위(inversion) 및 전좌(translocation)를 말하는 것으로, 단일 염기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이나 small insertion/ deletion 변이 보다 개체 간 유전 변이의 가장 큰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SV는 유전적 다양성 및 표현형 변이와 질병에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SV 연구를 바탕으로 유럽 내 국가별 대서양 연어를 관찰하였다. SV detection은 whole genome re-sequencing (WGS) 또는 array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총 494미(453미 는 노르웨이 'aqua genomes' project 샘플이었고, 나머지 41미는 양식장 대서양 연어였다.)의 대서양 연어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평균 8x WGS coverage의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14,072개 결실과 1,251개 중복 그리고 310개 역위 영역을 발견하였다. 그 중 599개 결실과 266개 중복과 98 개 역위의 high impact 영역을 발굴하였으며, biological processes 분석 결과로 high impact 영역이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유전자(NF-KB 등)들이 많이 포진되어 있었다. Population-level 분석 결과, wild type의 대서양 연어는 372미와 farmed type 대서양 연어는 32미로 확인되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 실은 뇌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들이 결실 변이에 의하여 발현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는 것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