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19년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참가 후기
- 등록일2019-12-16
- 조회수4547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9-12-02
-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분자·세포생물학회#KSMCB#'Microbiome and Mouse model
2019년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참가 후기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구효정
2019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KSMCB)가 COEX에서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열렸다.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KSMCB)는 약 14,000명의 회원 수를 자랑하는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생명과학 학술단체로써 개인적으로 2018년에 열린 정기학술대회와 동계학술대회에 이어 세 번째 참가였으며 석사 입학 후 가는 첫 학회였다. 남다른 마음 가짐을 갖고 우리 실험방뿐만 아니라 옆 실험방 구성원들과도 함께 가는 길은 마치 학창시절에 친구들과 가는 수학여행 같았다.
COEX에 도착하자마자 부랴부랴 등록을 마치고 들은 첫 세션에서 좌장 KAIST 이승재 교수님의 talk을 들었다. Yeast와 Bacteria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써 다소 생소한 organism인 C. elegans는 aging 연구에 탁월한 model인데 VRK-1이라는 C. elegans의 Vaccinia virus-related kinase ortholog가 AMPK(ATP-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organism의 lifespan이 증가한다는 내용이었다. 이 talk을 통해 Immunosenescence라는 개념을 처음 알게 되었는데 이는 longevity와 immunity를 모두 아우르는 말로 노화와 함께 나타나는 면역기능 감소를 말한다. DAF-2/ 인슐린 / IGF-1 수용체의 유전자 억제는 Immunosenescence delay를 유도하며 C. elegans의 면역을 다시 젊어지게 한다는 'rejuvenate immunity'라는 표현이 인상적이었다.
이후 우리과 학부생들을 비롯한 약 열명의 실험방 구성원들과 함께 점심 식사 후 David A. Agard, Ph.D. 의 plenary lecture를 들으러 갔다. 첫 plenary lecture에 대한 과학자들의 열정과 관심은 강연장 계단까지 앉은 사람들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발표 내용은 Hsp90의 chaperon system에 의한 folding mechanism과 microtubule nucleation의 mechanism에 대한 것 이였는데 이를 통해 protein folding이라는 흥미로운 분야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장소를 옮겨서 항생제 저항성과 관련된 new technology에 대한 세션을 들었다. 박테리아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써 기억에 남는 talk은 류충민 박사님의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진단과 combination-therapy에 대한 것 이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박테리아의 항생제 저항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Polymyxin에 대한 저항성 증가는 healthcare와 관련된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팀은 새로운 liquid media-based screening technique을 개발하여 polymyxin에 대한 combination-therapy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위 screening technique을 통해 Polimyxin B와 combinational effect가 있는 compound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흥미로운 발표에 듣는 내내 집중할 수 있었다.
학회 둘 째날 들었던 인상 깊은 세션은 'Microbiome and Mouse model'이였다. 그 중 연세대 유지환 교수님의 'metagenomics and metatranscriptomic analysis'에 대한 발표가 흥미로웠다. metagenomics는 total gDNA, 그리고 metatranscriptomics는 total RNA에 대한 것인데 본 연구팀은 위와 같은 분석으로 Mouse gut microbiome내에 주로 사는 major phylum과 upregulation된 유전자들을 확인하였다. 최근 microbiome에 대해 공부를 시작한 학생으로써 위의 발표는 매우 유익하고 재미있는 시간이었으며 석사 과정 동안 내가 진행할 연구에 관련 있는 내용들이 많아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 다른 talk은 포항공대 임신혁 교수님의 host immunity와 gut microbiome에 대한 것으로 B. bifidum의 CSGG가 Foxp3+ regulatory T cell 생성을 유도한다는 내용이었다. Probiotics는 장의 유익균으로 최근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그에 걸맞게 청중들의 관심과 흥미도 상당하였다. 세션이 진행되는 틈틈이 기업 부스 옆에 마련된 포스터 발표장에도 그 열기는 이어졌다. 우리 실험방에서는 총 다섯 명의 선배님들이 포스터 발표를 하였으며 자기 연구 주제에 대해 열정적으로 설명하시는 모습에 이제 막 시작한 석사 과정생으로써 나의 연구에 대한 각오를 새롭게 다질 수 있었다.
2019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KSMCB)는 경품 추첨으로 그 막을 내렸다. 중앙대 고기성 교수님의 재치 있는 진행으로 분위기는 더욱 뜨거웠고 동료들과 함께 기업 부스를 열심히 돌아다닌 탓에 경품 추첨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운 좋게도 옆 실험방 선배와 우리방 선배 한 명씩 블루투스 스피커를 받을 수 있었다. 학회의 다양한 세션과 기업 부스, 포스터 발표 그리고 plenary lecture까지 학회 프로그램을 백분 활용한 덕분에 마지막까지 좋은 선물을 안고 돌아올 수 있었다.
이번 2019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KSMCB)를 통해 생명과학이라는 큰 울타리 안에 다양하고 세분화 된 연구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었으며, 여러 기업 부스를 통해 재미있고 알찬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성공적인 학회 개최를 위해 노력하신 학술위원회 운영위원이자 지도 교수님인 이정신 교수님을 비롯한 다른 교수님들, 운영위원 그리고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먼 해외에서도 방문해준 참가자들께 진심으로 감사 드리며 과학자들의 즐거운 소통의 장에 함께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 기술동향 [KSMCB 2024년 3월호] 저산소에 의한 세포밖소포체 조절 2024-03-07
- 기술동향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23년 12월호]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제의 최신 동향 2023-12-06
- 기술동향 2021년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제32회 동계학술대회 참가 후기 2021-03-18
- 기술동향 우리 뇌는 소금 섭취를 어떻게 조절하는가? [KSMCB 2020년 6월호] 2020-06-23
- 기술동향 유전자 전사 종결 후 재생 및 재개시(Transcription Recycling and Reinitiation after Termination) [KSMCB 2020년 6월호] 2020-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