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미래형 농업기술에 관한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20-01-08
- 조회수5411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19-12-31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Agricultural technology#Smart farm#Plant factory
- 첨부파일
미래형 농업기술에 관한 동향 및 전망
요약문
세계적으로 환경오염과 이에 따른 지구 온난화문제로 유발되는 기후변화는 농가의 곡물 자급 률 하락을 유도하고 있으며, 농가의 소득 정체, 신규 농업인 유입 감소, 고령화 등과 같은 2차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농업 식량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 마 련이 필수적이며, 이에 정부는 농가의 전문 농업인의 효율적인 업무능력을 활용하고 신규 농 업인의 유입을 위한 대안으로 농업과 ICT 기술의 융•복합 산업이 접목된 스마트 팜 또는 식물 공장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계절이나 환경에 상관없이 연중 계획 생산이 가능하 고, 무 농약 재배 및 고부가가치 식물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농•산업 분야에 스마트 팜 및 식물공장 기술은 급격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 식량부족문제와 관련 하여 겪고있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미래형 농업기술인 스마트 팜 및 식물공장에 개념 및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동향 및 추진 전망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목 차
1. 서론
2. 본론
2.1. 스마트 팜
2.2. 식물공장
2.2.1. 식물공장의 특징
2.2.2. 식물공장의 핵심기술
2.2.3. 식물공장의 국내 추진 동향
2.2.4. 식물공장의 해외 추진 동향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 론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활성화됨에 따라 지구 온난화로 인한 많은 문제들 가운데 식량 공급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환경적인 요인이나, 농약에 사용, 계절적 문제들은 농가의 소득 정체, 곡물 자급률의 하락,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과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제적으로 시장이 개발되면서 농업의 개방화가 당연시되는 동시에 현재 국내 농업은 세계 강국들과 비교하여 매우 열악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산비용에 감소와 함께 농산물 품질에 향상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