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건선(psoriasis)과 건피(xerosis cutis)

  • 등록일2020-01-15
  • 조회수539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1-09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건선(psoriasis)# TNF-α#건피(xerosis cutis)
  • 첨부파일


건선(psoriasis)과 건피(xerosis cutis)



요약문 


건선(psoriasis)은 피부의 홍반 증상과 함께 피부 표면의 과다한 각질 생성으로 인해 피부가 두꺼워지는 증상이다. 건선은 대표적인 만성 자가 면역질환 중의 하나로서 주로 면역 시스템이 과다하게 반응하거나 오랫동안 지속함으로써 유발된다. 또한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약물, 피부 자극, 건조, 염증,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건선의 복합적인 요인들로 작용하거나 병변 부위의 증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들로 알려져 있다. 건선은 성별과 관계없이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 되나,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건선의 심각성은 전형적으로 여자보다는 남자에게서 높게 나타난다. 발병 시기는 일반적으로 성인기인 20~30대 후반과 50~60대에서 높게 나타난다. 또한, 건선은 관절염(arthritis),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대사 증후군(metabolic syndrome),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그리고 우울증(depress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이차적인 여러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선을 방치하지 않고 꾸준하게 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건선은 한번 발병하면 언제든 재발할 가능성이 있고, 완치 가능한 치료법은 현재까지 보고되고 있지 않다. 이에 반해, 건피(xerosis cutis)는 피부의 각질 생성, 균열, 심한 가려움증 등이 그 증상이다. 주된 원인은 피부 노화 또는 아토피 피부염 등에 의한 피부의 피지 분비 감소로 인한 피부의 건조화이다. 따라서 건피는 노인들에게서 높은 확률로 나타난다.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까지 학계에 알려져 있는 기초 연구 및 임상학적 연구를 토대로, 건선과 건피의 분자 생물학적 특징 및 병리 기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그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목 차 

 

1. 서론  

2. 본론    

2.1. 건선의 병리적 증상 및 진단    

2.2. 건선의 병리적 요인      

2.2.1. TNF-α      

2.2.2. IL-23/ T helper cell 17 (Th17)      

2.2.3. IL-33      

2.2.4. Skin flora dysbiosis    

2.3. 건선의 치료 요법 및 예방      

2.3.1. 국소 치료법(도포제 치료)      

2.3.2. 광선 치료법      

2.3.3. 전신 치료법(경구약 복용)      

2.3.4. 생물학적 제제 치료법(피하 및 근육 주사 용법)    

2.4. 건피의 병리적 증상 및 진단    

2.5. 건피의 병리적 요인      

2.5.1. 환경적인 요인      

2.5.2. 내인성 요인    

2.6. 건피의 치료 요법 및 예방      

2.6.1. 수분 공급      

2.6.2. 섬유      

2.6.3. 식이 습관      

2.6.4. 생활 환경  

3. 결론  

4. 참고문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