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조합 면역 치료를 통한 면역학적으로 뜨겁고, 변형되고, 차가운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접근들
- 등록일2020-02-04
- 조회수535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1-30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조합 면역 치료#종양#종양 미세 환경
- 첨부파일
조합 면역 치료를 통한 면역학적으로 뜨겁고, 변형되고,
차가운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접근들
요약문
면역 치료는 가장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약제이며, 종양학과 보건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있다. 면역 조절 전략이 기저 면역 반응의 존재와 이미 존재하는 면역을 촉발시키는 것에 필요로 한다는 것이 점차 명확해지고 있다. 따라서, 효과 T 세포(effector T cell)가 항암 작용에서 하는 중심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최근 면역학의 발전으로 면역 치료에 잘 반응하는 환자를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리뷰에서는 면역학적으로 뜨겁고, 변형되고, 차가운 종양을 정의하고, 종양 미세 환경의 복잡성, 면역 점수(Immunoscore), 그리고 종양의 면역 구조(immune contexture)에 집중할 것이다. 또한 면역관문 억제제를 포함하여 조합 면역 치료로 이러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접근들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조합 면역 치료의 시대를 맞아, 약한 항암 면역을 강화시키기 위해, 면역학적으로 뜨겁고, 변형되고, 차가운 종양이 되는 기작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면역학적으로 차가운 종양을 뜨겁게 만들기 위한 면역 작용에 조합 면역 치료가 주는 영향이 논의될 것이다.
목 차
1. 도입
2. 면역학적으로 뜨겁고 차가운 종양의 정의
3. 면역학적으로 뜨겁고, 변형되고, 차가운 종양을 넘어
4. 이미 존재하는 면역의 촉발
5. 면역학적으로 뜨거운 종양의 면역 치료
5.1. T 세포 표적 면역 치료
5.2.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6. 면역학적으로 변형된 종양의 면역 치료
6.1. T 세포 유입 조절
6.2. 물리적 장벽 분쇄
6.3. 가용성 인자 억제제
6.4. 국소 적응 면역의 세포 조절자
6.5. 선천 면역 작용 조절
7. 면역학적으로 차가운 종양의 면역 치료
7.1. 방사선 치료
7.2. 화학 치료
7.3. 표적 치료
7.4. DNA 복구 기반 치료
7.5. 세포 이식 치료
7.6. 종양 살상형 치료
7.7. 백신 기반 치료
7.8. T 세포 면역 조절
8. 결론
1. 도입
2. 면역학적으로 뜨겁고 차가운 종양의 정의
3. 면역학적으로 뜨겁고, 변형되고, 차가운 종양을 넘어
4. 이미 존재하는 면역의 촉발
5. 면역학적으로 뜨거운 종양의 면역 치료
5.1. T 세포 표적 면역 치료
5.2.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6. 면역학적으로 변형된 종양의 면역 치료
6.1. T 세포 유입 조절
6.2. 물리적 장벽 분쇄
6.3. 가용성 인자 억제제
6.4. 국소 적응 면역의 세포 조절자
6.5. 선천 면역 작용 조절
7. 면역학적으로 차가운 종양의 면역 치료
7.1. 방사선 치료
7.2. 화학 치료
7.3. 표적 치료
7.4. DNA 복구 기반 치료
7.5. 세포 이식 치료
7.6. 종양 살상형 치료
7.7. 백신 기반 치료
7.8. T 세포 면역 조절
8. 결론
1. 도입
암 면역 치료와 면역관문 억제제의 등장으로 얻어진 최근 몇년간의 놀라운 결과들은 숙주 면역 작용을 항암 치료의 핵심 표적으로 삼으며 종양학 분야에 혁신을 일으켰다. 암 면역 치료의 원리는 세 측면이 있다: 1) 면역 결핍 생쥐 모델을 이용한 면역 감시(immunosurveillance)의 규명; 2) 인간에서 이미 존재하는 면역과 자연적으로 종양 내에 존재하는 T 세포의 중요성의 규명; 3) 인간 암에서 T 세포에 있는 면역관문 수용체 억제를 통한 이미 존재하는 면역의 촉발. 숙주 면역 체계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종양의 확립과 발달 기작에 대한 통찰은 가능한 개입 시점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했고, 이에 따라 새롭게 종양을 분류하고 치료하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해졌다. 본 리뷰에서는 종양을 네 종류로 분류하고자 한다: 면역학적으로 1) 뜨거운 종양('hot'); 2) 변형-고립된 종양('altered-excluded'), 3) 변형-면역 억제된 종양('altered-immunosuppressed'), 4) 차가운 종양('cold'). 또한 이들 종양을 표적으로 하고 면역 치료를 포함하는 최근의 가능한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암 면역 치료와 면역관문 억제제의 등장으로 얻어진 최근 몇년간의 놀라운 결과들은 숙주 면역 작용을 항암 치료의 핵심 표적으로 삼으며 종양학 분야에 혁신을 일으켰다. 암 면역 치료의 원리는 세 측면이 있다: 1) 면역 결핍 생쥐 모델을 이용한 면역 감시(immunosurveillance)의 규명; 2) 인간에서 이미 존재하는 면역과 자연적으로 종양 내에 존재하는 T 세포의 중요성의 규명; 3) 인간 암에서 T 세포에 있는 면역관문 수용체 억제를 통한 이미 존재하는 면역의 촉발. 숙주 면역 체계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종양의 확립과 발달 기작에 대한 통찰은 가능한 개입 시점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했고, 이에 따라 새롭게 종양을 분류하고 치료하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해졌다. 본 리뷰에서는 종양을 네 종류로 분류하고자 한다: 면역학적으로 1) 뜨거운 종양('hot'); 2) 변형-고립된 종양('altered-excluded'), 3) 변형-면역 억제된 종양('altered-immunosuppressed'), 4) 차가운 종양('cold'). 또한 이들 종양을 표적으로 하고 면역 치료를 포함하는 최근의 가능한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