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신경교세포를 중심으로 한 신경퇴행성질환의 연구 동향

  • 등록일2020-02-12
  • 조회수6807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0-02-11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신경교세포#신경퇴행성질환#성상세포
  • 첨부파일

 

신경교세포를 중심으로 한 신경퇴행성질환의 연구 동향



요약문

신경계 질환이나 신경퇴행성질환에서 관찰되는 신경교세포의 이상 기능은 신경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일어나는 2차적 현상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의 여러 연구들은 신경교세포가 이러한 질환의 발병기전에 보다 주도적으로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상세포의 경우, 신경퇴행성질환의 병인 유전자의 손실이나 신경퇴행성질환에서 널리 관찰되는 단백질 응집체의 성상세포 내 축적이 성상세포가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정상 기능을 손상시키거나, 신경독성을 갖는 반응성 성상세포로 변화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신경독성에는 미세아교세포가 관장하는 신경염증반응이 관여하여 신경세포의 퇴행을 일으킨다. 또한, 미세아교세포가 중추신경 발달과정에서 쓸모 없는 시냅스를 제거하는 시냅스 가지치기의 과도한 활성도 알츠하이머병 등에서 일어나는 시냅스 손실에 기여하고, 과도하게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가 비활성 성상세포를 신경독성을 갖는 반응성 성상세포로 유도하기도 한다. 미엘린 수초를 생성해 축색돌기를 지지하는 희소돌기신경교의 경우 신경퇴행질환에서의 역할이 비교적 덜 밝혀졌지만, 정상적인 노화과정이나 알츠하이머병에 동반되는 인지기능 저하에 미엘린 수초의 손상이 기여하고 다계통위축증을 비롯한 신경퇴행성질환에서 희소돌기신경교의 기능 이상에 의해 신경염증반응이 유발됨이 알려졌다. 여러 신경퇴행성질환에서 신경교세포가 정상기능을 잃거나 독성을 띠는 이상기능을 획득하는 것이 공통적으로 신경세포의 퇴행에 기여하는 바, 이 기전을 잘 이해하는 것이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필수적일 것이다.

목 차

1. 서론
2. 본문
   2.1. 성상세포와 신경퇴행성질환
    2.1.1. 성상세포의 기능상실과 그에 따른 신경계질환
    2.1.2. 성상세포와 알츠하이머병
    2.1.3. 성상세포와 헌팅턴병
    2.1.4. 성상세포와 파킨슨병
    2.1.5. 성상세포와 근위축측삭경화증
  2.2. 미세아교세포와 신경퇴행성질환
    2.2.1. 미세아교세포의 기능 상실과 신경계 질환
    2.2.2. 미세아교세포와 신경퇴행성질환
  2.3. 희소돌기신경교와 신경퇴행성질환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신경교세포 또는 신경아교세포(glial cell)는 신경계를 구성하는 세포 중 신경세포가 아닌 세포들을 일컫는다. 신경교세포는 19세기 Rudolf Virchow, Santiago Ramón y Cajal, Pío del Río-Hortega를 비롯한 신경과학자들에 의해 처음 알려졌으며, 풀(glue)을 뜻하는 그리스어 glía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신경교세포는 전기적 신호를 만들지 않고 단순히 신경계 내의 풀 역할을 하여 구조를 유지,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여러 연구의 결과로 신경교세포가 단순히 구조적인 기능을 할 뿐 아니라, 신경세포에 영양물질, 산소를 공급하고 절연 기능을 하여 신경세포 간에 불필요한 신호전달을 막아주며, 병원체나 죽은 신경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신경전달물질을 흡수하여 세포 외부의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조절하고, 발생 단계에서 시냅스 형성에도 관여하는 등, 신경교세포가 보다 능동적으로 신경계 기능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1].

대뇌실질과 척수를 비롯한 중추신경의 신경교세포는 그 기원에 따라 외배엽에서 기원한 성상세포(astrocyte), 희소돌기신경교(oligodendrocyte), 교모세포(glioblast), 중배엽에서 기원한 미세아교세포(microglia)로 나뉜다 (그림 1) . 그 외 말초신경의 신경교세포는 상의세포(ependymal cell), 슈반세포(schwann cell), 위성세포(satellite cell) 등으로 분류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